👀학습목표
- 목표원가의 달성 과정을 이해하고 적용한다.
- 개발 항목을 원가절감대상과 성능 강화 대상을 구별하여 관리한다.
터무니없이 가격을 줄여야한다.
📕Stretch Goal의 설정
📗의의
- 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방법을 찾는 자극제
- Out of Box 사고를 강조
📗올바른 이해
- Goal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이미 Stretch Goal이 아님.
- Commitment Goal [기본목표]에 대한 추가적인 목표로 항성 달성 가능한 목표는 아님
- Stretch Goal을 설정한 후에는 달성 가능하도록 모든 지원가 Tool을 제공해야 함.
📗기본원칙
- 팀 원을 미치게 만드는 Goal을 설정하지 말 것
- 목표 미달에 대해 팀원을 질책하지 말 것
- Stretch Goal 달성을 통해 얻어지는 부는 반드시 팀원과 공유할 것
📗Target Costing의 달성 국면
초기 원가 추정치와 목표원가의 Gap을 줄여야 함!!
📕Target Costing의 달성 Flow
Cross-Functional, 외부지향적이며 High Value의 결과를 도출함.
📗Target Costing 관리방법
- Cost 비중이 높고 성능 Impact가 그저 그렇다면 그 제품은
원가절감 대상
- Cost 비중이 적고 성능 Impact가 높다면
성능 강화 대상이다.
📗Target Costing 실행상 장애 요인
부서 업무적 사고와 부서의 제한된 시각으로부터의 탈피가 필요하며, 한계 돌파적 사고, 명확히 정의된 주인 인식, 냉혹한 결단, 정확하고 적시적인 정보흐름의 실시간 점검이 중요
📗Target Costing의 전략
💡Target Costing의 세 축 : 품질
, 원가
, 시점
[QCT : Quality, Cost, Timeing]
- Target Costing은 기업 외부의 고객 및 경쟁기업을 항상 의식하도록 함
- Target Costing은 원가발생 이전, 원가 결정 단계에서 원가관리를 시작함.
- Target Costing은 제품 및 제조 공정 등 전 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도록 함.
- Target Costing은 범능적 조직으로 하여금 전시적 차원에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함.
- Target Costing은 가치사슬망을 체계적으로 결합시켜줌.
📕가치공학 [VE : Value Engineering]
**💡가치의 정의**
가치공학에서는 가치를 원가와 기능 혹은 가격과 품질을 서로 비교 측정한다.
가치(V) = 기능(F) / 원가(C)
-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능을 높이던가, 원가를 낮추던가
가치는 사용가치
, 귀중 가치, 교환가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사용가치[Use value] : 제품이 지니고 있거나 사용할 때 발휘되는 제품의 특별한 성질이나 품질의 가치
- EX) 고급 자동차, 고급 음식
- 귀중 가치[Precious value] :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을 일으키게 하는 성질이나 매력의 가치
- EX) 명품 시계 , 사치품
- 교환가치[exchange value] : 제품을 다른 것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제품 특성에 따른 가치
- EX) 상장주식 VS 비상장주식 , 범용장비 VS 비범용장비
**💡가치 분석대상 제품**
- 대량생산품
- 반복 생산품
- 비용 혹은 사용도가 높은 제품
- 비용이 높아 이윤폭이 낮은 제품
- 이윤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계획된 제품
- 가격 • 품질 • 운반의 관점에서 문제시되는 제품
- 유사성이 높은 제품
**💡가치 분석의 내용**
- 결합 • 다양화 • 통합 • 분화의 검토
- 불필요한 부품의 제거와 변화
- 구조와 형태의 개선
- 내성의 연구
- 대체물의 발견
- 표준화 품목의 변경
- 설계의 개량 및 변경
- 구매기술의 효율 개선으로 인한 구매 가격의 인하 등
✔정리
- 목표원가는 부품별, 기능별, 구입 선별로 분해하여 관리한다.
- 원가비중이 높고, 성능에 대한 영향이 낮은 개발 항목을 원가절감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리한다.
'학교 > 회계와 사회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와 사회생활]기말고사 정리 17- 생산혁신과 원가혁신 (0) | 2022.06.08 |
---|---|
[회계와 사회생활]기말고사 정리15- 목표원가의 설정과정 (0) | 2022.06.08 |
[회계와 사회생활]기말고사 정리 14- 책임중심점과 표준원가 (0) | 2022.06.07 |
[회계와 사회생활] 기말고사 정리 - 13 손익분기점 분석 (0) | 2022.06.07 |
[회계와 사회생활] 기말고사정리12 - 의사결정 사례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