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ls/Android

개요저번 글에는 Compose의 Layout에 대해서 다뤄봤습니다.사실 SubComposeLayout을 다루기 위해서 먼저 Layout을 다뤄본 것입니다.즉 SubComposeLayout을 이해하기 위해선 Compose의 Layout 과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Android] - Jetpack Compose Layout취업 이후 첫 글인 것 같네요.개발 실력이 모자라 배우느라 바쁘기도 했지만, 개발 외적으로 회사의 프로세스를 적응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을 쏟고 있는 요즘입니다. 최근엔 서서히 적응을jja2han.tistory.com단순한 레이아웃은 기본 제공 컴포저블(Row, Box, Column)이나 Layout 함수만으로 충분히 구현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하위 레이아웃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
개요compose navigation을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요, 생각보다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가 많이 발생하더라고요.그래서 어떻게 구조를 바꿀 수 있을까 하다가 KSP를 활용해서 Navigation 코드를 자동화하는 라이브러리를 찾게 되었고, 적용해 봤습니다.Compose Destinations설명Compose Destinations는 Jetpack Compose를 위한 Type-Safe Navigation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해당 라이브러리에서 강조하는 점은 Compose Navigation의 복잡함과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크게 줄여준다는 점입니다. 첫 Stable 한 버전은 1.9.50으로, 23년 10월 자 라이브러리이다.https://github.com/raamcosta/com..
취업 이후 첫 글인 것 같네요.개발 실력이 모자라 배우느라 바쁘기도 했지만, 개발 외적으로 회사의 프로세스를 적응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을 쏟고 있는 요즘입니다. 최근엔 서서히 적응을 하고 있고, 마인드맵 프로젝트부터 관심이 있었던 Custom Layout을 Jetpack Compose에선 어떻게 구현하고 있을지 궁금했고, 그에 관한 내용을 적어볼까 합니다. Jetpack Compose Layout을 설명하기 전 CustomLayout을 만들기 위해서 View(Xml)에선 어떻게 하고 있었을까요?과거(Xml)class CustomLayout(context: Context) : ViewGroup(context) { override fun onMeasure(widthMeasureSpec: Int, h..
개요매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네트워크 응답 처리에 대한 구조를 고민하곤 합니다. 어떻게 하면 직관적인 코드로 깔끔하게 처리할지,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쉬울까를 고민하다 보니매 프로젝트때마다 다른 에러 핸들링 코드가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조금 새롭게 Interceptor를 활용한 에러 핸들링 코드를 구현했고, 그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까 합니다.  InterceptorInterceptor의 역할은 다양하게 있는데, 주된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로깅Retrofit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들어봤거나, 사용해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addInterceptor(HttpLoggingInterceptor().setLevel(HttpLoggingInterceptor.Level.BODY)) 아마 네..
개요웹개발이나,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JwtToken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도 JwtToken을 기존에 처리했었는데, 이번 프로젝트에서 Authenticator를 활용해서 처리해 봤습니다.그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할까 합니다.  Authenticator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 HTTP 상태코드 중 401을 받게 됩니다. 이전에는 401 에러를 받을 경우 갱신 요청을 보내는 로직을 작성했다면, 네트워크 통신 단계에서 401에러를 검증하고 작성한 로직을 실행시킬 수 있는 Authenticator에 존재를 알게 되었습니다.(사실 이 전에 몰랐던 것이 말이 안 된다..라고 생각이 들긴 합니다)class JwtAuthenticator @Inject ..
개요프로젝트가 마무리 될 즈음 당연하게 거쳐야 햘 과정이 있습니다.그것은 바로 기능들을 검증하는것이겠지요?전문적인 용어로는 QA(Quality Assuarance)라고 합니다.그동안의 프로젝트에서는 QA 과정이 없거나, 아주 간단하게 진행했습니다. 왜냐면 개발과 문서화를 하기에도 시간이 벅차기 때문인데요,하지만 좋은 프로젝트는 유저가 사용하기 이전에 서비스가 안전한지, 개발자의 의도대로 동작하는 지 검증하는것이 당연히 필요합니다. 예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배포 후 받았던 피드백 내용들입니다.기능 외적으로 개발단계에서 생각치 못한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예를 들면 위 화면처럼 말도 안되는 오류가 생기기도 하구요.. 그래서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에서 저희는 QA를 도입해보기로 ..
해당 프로젝트 관련 글 [Android] -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리스트 반환하기[Android] - 멀티 모듈 with Version Catalog [멀티 모듈 적용기(2)][Android] - 레이어 분리 [멀티 모듈 적용기(1)][Android] 커스텀 컨트롤러 구현 및 동영상 재생 관리[Android] 비디오 타임라인 이벤트 처리[Android] 영상 편집 UI 구현[Android] - Retrofit으로 에러 메시지 처리하기[Android] DataSource 적용 및 분리[Android] 네이버 로그인 프로필 가져오기[Android] 자동 로그인 with DataStore(Kotlin)[Android] 네이버 간편 로그인(Kotlin)  개요저번 글에서는 동영상을 선택할 경우 편집기 UI에 썸..
해당 프로젝트 관련 글[Android] - 멀티 모듈 with Version Catalog [멀티 모듈 적용기(2)][Android] - 레이어 분리 [멀티 모듈 적용기(1)][Android] 커스텀 컨트롤러 구현 및 동영상 재생 관리[Android] 비디오 타임라인 이벤트 처리[Android] 영상 편집 UI 구현[Android] - Retrofit으로 에러 메시지 처리하기[Android] DataSource 적용 및 분리[Android] 네이버 로그인 프로필 가져오기[Android] 자동 로그인 with DataStore(Kotlin)[Android] 네이버 간편 로그인(Kotlin)개요동영상을 직접 편집할 수 있고, 지도에 올리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편집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편집기 U..
해당 프로젝트 관련 글[Android] 네이버 간편 로그인(Kotlin)[Android] 자동 로그인 with DataStore(Kotlin)[Android] 네이버 로그인 프로필 가져오기[Android] DataSource 적용 및 분리[Android] Retrofit으로 에러 메시지 처리하기[Android] 영상 편집 UI 구현[Android] 비디오 타임라인 이벤트 처리[Android] - 레이어 분리 [멀티 모듈 적용기(1)] 이전 글에서는 멀티 모듈 적용을 위해서 의존성 방향이 정리되지 않은 Domain, Data, Presentation의 계층을 완전하게 분리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분리한 계층들을 하나의 App 모듈에서 여러 개의 모듈로 분리해 보는 과정과 느꼈던 점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