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컴퓨터 네트워크의 도입 과정
- 인터넷 internet
- 1960년대 미국 군용 통신망 -> 일부 민간 사용
- 1983년 군용 통신망 분리 -> 폭발적 증가
- 웹 world wide web
- 1989년~1990년 최초 제안 및 보급 시작
- 물리학 실험 자료의 인터넷 공개 관리 시스템으로 시작
- 민간 공개 + 기능 추가 후 -> 폭발적 증가
- 클라우드 컴퓨팅
- 2006년~2008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렌털 서비스
초기 인터넷의 출현
- 1958년, ARPA =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 미 국방성 산하, 설립 취지 : 다른 나라로부터의 기술 기습을 막는다
- 현재는 DARPA =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 1969년, ARPAnet
- 목표 : 핵전쟁에도 살아남는 데이터 저장/통신 방법
- 기술적 구현 : 분산된 많은 서버, 패킷 교환 방식
- 사용자 : 미국 방성 + 개발자 : 미국 내 4개 대학 -> 군과 민간의 혼용
- 1971년 e-mail 시작
- 이후, 파일 전송, 게시판 등으로 발전
- 1983년 군용 통신망 분리 -> 폭발적 증가
전화 모뎀
- 1950년대~1990년대 : PC 메인프레임 또는 PC-PC 간의 통신 필요성
- 물리적 연결망이 필요 -> 전화선 이용
- 모뎀 = modulator and demodulator : 데이터 신호 <- -> 아날로그 신호 변환
- 다이얼 - 업 모뎀 : 전화선용 모뎀, 2400 bps ~57600 bps
- 전화 모뎀을 사용한 서비스들
- 채팅 게시판
- 1984년 부터 국내 PC 통신 서비스
- Mud 게임
- 채팅 게시판
WWW의 시작
메멕스 = memory extender
- MEMEx 메멕스 = Memory Extender
- 1945년 MIT 배 니버 부시 교수
- 부시 교수는 아날로그 방식 컴퓨터의 대가
- 개인의 책/기록물 모두를 저장/검색하는 기계
- 원시적인 하이퍼텍스트 개념 제시
- 설계 : 마이크로필름 방식 -> 아날로그 컴퓨터
- 목적 : 인간의 기억을 보완
- 이후의 영향 : 인터넷, 웹 등의 발전에 영감
- 1945년 MIT 배 니버 부시 교수
하이퍼 텍스트
- 1956년, 하이퍼 텍스트 개념 제시
- 테드 넬슨 = 미국 사회학자, 철학자
- hypertext = 비연속적 글쓰기
- 나뭇가지처럼 갈라져서, 독자에게 선택을 허용하는 문장
- 1967년 , 하이터펙스트 에디팅 시스템 = HES
- 앤디 밴담 -> 그래픽스 분야 대가
- 1968년, 스탠포드 연구소 , GUI개념 + 마우스 발표
- 더글라스 엥겔바트 = GUI 방식의 선구자
- 1987년 매킨토시, 하이퍼 카드 앱
- 일반인이 하이퍼링크 구현 가능
World Wide web의 시작
- CERN
-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 다양한 국가에서 공동 연구 수행 + 엄청난 양의 데이터
- 1989년 , World Wide Web 시작
- 팀 버너스-리 = CERN에 근무하던 영국 물리학자
- 용도 : CERN 연구 자료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
- 구현 = 인터넷 + 하이퍼텍스트/하이퍼 링크
- 결과물 = www, URL , HTTP
- 최초 구현에 NexT 컴퓨터 사용
- 모든 결과물을 public domain에 공개
- 특허료 포기 -> web의 빠른 보급
- W3C = world wide web consortium
- 1994년, 팀 버너스-리 설립- > 현재까지 의장
- world wide web을 위한 표준 제정/개발
- 자유, 비특허, 비 로열티 정책
- 개방, 공유, 참여의 철학
상업용 웹 브라우저 출현
- 1993년, Mosaic 출시
- 미국 일리노이 대학 NSCA 연구소의 내부 프로젝트
-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웹 브라우저
- 최초로 GUI + 하이퍼링크를 완벽히 표현
- 마크 앤드리슨
- Mosaic 웹 브라우저 개발 -> NCSA 퇴직
-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 설립
- 1994년,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 저작권 문제로 처음부터 다시 개발
- 시장 점유율 90% 달성
웹 브라우저가 가져온 변화
- 웹 서비스 관련 업체의 등장
- 홈페이지 제작 업체
- 웹 서버 제공/관리 업체
- 포털 서비스, 검색 서비스 시작
- 1994년, Yahoo! 의 검색 페이지 시작
- PC 통신의 침몰
- 누적된 데이터 -> 기존 이용자 유지
- 1999년, 초고속 인터넷 도입 후 급속히 몰락
닷컴 기업들
Yahoo!
- 미국의 포털 사이트 운영 기업
- 2010년까지 검색/포털 사이트의 독보적 존재
- 여러 업체가 벤치 마크 -> 네이버 다음의 포털사이트
- 구글 출현 이후, 급격히 몰락
- 2010년까지 검색/포털 사이트의 독보적 존재
- 1994년, 웹 디렉터리 사이트 개설
- 미국 스탠퍼드 대학원생들의 창업
- 제리 양 : 대만계 미국인 -> 2006년, 알리바바 지분 40% 투자
- 데이비드 파일로 : 미국인, Yahoo dynamic web server를 C로 작성
- 1995년, Yahoo! 창업= 디렉터리 검색 + 검색 엔진
- 미국 스탠퍼드 대학원생들의 창업
웹 디렉토리 서비스
- 웹 디렉토리 = web directory
- 인터넷 판 전화번호부
- 인터넷 웹 사이트 주소들을 목록으로 관리
- 대부분 사람이 직접 수집/관리하는 방식
- 장점 : 정확한 판정 가능
- 단점 : 인터넷의 폭발 정 증가에 대처 불가
Amazon.com
- 미국의 인터넷 플랫폼 기업
- 온라인 쇼핑몰 기업 : 미국 온라인 쇼핑몰 1위
- 세계 최대 규모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업
- 시가총액 1조 클럽 MGMA
- 1994년 인터넷 서점 시작
-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 경영위기 -> 온라인 종합 쇼핑몰로 변신
- 2002년, 서버 클라우드 시장 진출 -> 영업이익의 60~70%로 성장
- 2011년, Amazon Appstore 운영
- 드론, 자율주행 차량 진출
- 2014년, Alexa출시 -> AI시장 진출
제프 베이조스
- Bezos = 쿠바 계이름, /bay-zos/로 발음
- 미국의 앙트 러프 러너
- 프린스턴 대학교 물리학과 입학-> 컴퓨터학과 졸업
- 물리학과 양자역학 과목 -> 동료 학생들이 너무 뛰어남을 인정 -> 물리학 포기
- 졸업 -> 증권사 기술 기반 트레이딩 전략팀 -> 부사장
- 1994년 Amazon 설립
- 2000년 블루 오리진 설립 -> 우주여행 프로젝트 진행
- 2013년 워싱턴 포스트 신문사 인수 -> 사우디아라비아 비난 기사
- 2019년 아이폰 해킹 -> 외도사진 유출 -> 이혼
eBay
- 미국의 오픈 마켓 회사
- 인터넷 경매 + 고정가 방식 쇼핑몰
- 피에르 오디 미아
- 이란계 미국인 프로그래머
- 터프츠 대학 졸업, 평범한 월급 프로그래머
- 린 스타트업의 대표적 사례
- 1995년, 경매 사이트 개설,
- 개인 사이트에 취미 활동 -> 트래픽 증가로 인터넷 비용 발생 -> 수수료 부과
- 수수료 처리 + 기타 잡무 증가 -> 직원 채용 -> 회사로 발전
-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 고정가 방식 허용- > 현재는 쇼핑몰 성격도 강함.
린스타트업
- 에릭 리스
- 스타트업 =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조직
- 린 = 여윈, 빈약한, 마른 -> 군살 없는 , 낭비 없는 으로변홤
- lean and mean = 꼭 필요한 것만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 린 스타트업
- 빠른 프로토타입 -> 고객 피드백 -> 프로토타입으로 발전
- 고객 접촉을 높임 -> 시장에 대한 오류를 줄임 -> 낭비를 줄여서 고속 성장
- 핵심: 빠른 속도, 피드백, 반복, 비용 절감
스타트업 창업자의 다양한 관점
- 성공에 대한 기대감
- 엄청난 성공을 확신 -> 직접 창업
- 린스타트업 관점
- 프로토타입으로 검증부터 -> 망할 수도 있으니 최소 투자
- 외부 투자 유치 후의 관점
- 사업 초기 성공에 대한 보상이다.
- 회사의 복지, 이미지 관리 등에도 쓰자
- 외부 투자는 본질적으로 책무/부채이다.
- 닷컴 버블 붕괴 시에 분명한 차이가 드러남
- 사업 초기 성공에 대한 보상이다.
닷컴 버블 붕괴
알타비스타
- 미국의 검색 엔진 업체
- Alta Vista = 높은 곳에서 본 경치
- 1995년, DEC 내부 개발
- 당시 인터넷의 모든 웹 문서를 크롤링 -> 기존 포털/검색보다 100배 빠른 서비스
- 1990년대 최고의 크롤링 성능 + 검색 엔진
- 1998년 , DEC 파산 -> HP가 인수 ->.. 재인수
- 구글의 출현으로 완전히 몰락
- 기술경영의 실패 사례
- DEC 경영진 : 검색엔진 = 컴퓨터 성능 데모용
- 검색엔진의 수익 모델 개발 실패 : 비용만 소비
초기 검색 엔진들
- LYCOS 라이코스
- 1994년, 카네기 멜런 대학교 교내 창업
- 웹 검색 엔진 -> 포털 서비스 -> 사업 확장
- 닷컴 버블 붕괴 후 몰락
- 다음에서 인수 -> 현재는 인도 회사
- excite.com
- 1993년 스탠퍼드 대학생들의 교내 창업
- 웹 검색 엔진 -> 포털 서비스 -> 사업 확장
- 닷컴 버블 붕괴 후 몰락
닷컴 버블 그 붕괴
- 1995년~2000년, 세계적으로 발생한 광적인 투기/투매 현상
- 한국에서는 IT 버블이라고 함
- 인터넷/통신 관련 주식 투자 증가 -> 수익 모델 없음 -> 2000년 4월부터 폭락
- 특히 후유증이 심각했던 국가 : 미국 한국 독일
- 공통점: 벤처 기업을 위한 새로운 주식 시장 개설
- 미국 나스닥 : 종합지수 상승, 아마존 주식 하락
- 한국 코스닥 시장: 외환위기 -> 종합지수 상승-> 지수 하락
- 독일 노이어 마르크트 시장 : 유럽 최대 기술주 시장- > 96% 하락 -> 시장 폐쇄
- 결과
-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 제조업 + 금융산업 부상
한국의 IT 버블
- 1997년 외환 위기
- 김대중 정부의 해결책 -> 대기업 정리, 벤처기업 육성
- 주식시장: IT 관련 테마주 부상 + 애국 마케팅 펀드
- 한국 주식 시장의 재편성
- 코스피 시장= 대기업 위주의 주식시장
- 코스닥 시장 = 벤처기업 위주의 장외 시장 -> 제2 주식시장
- 코스닥 시장의 IT 버블
- 테마주의 급부상- > 대부분 닷컴 버블 붕괴 후 파산/상장 폐지
- 데이-트레이딩, 주가조작 등, 버블 징후 확실 -> 닷컴 버블 붕괴에 동시 투매
살아남은 기업들
- 미국 시장
- 이전 세대 : Apple, Microsoft
- 닷컴 기업들 : Yahoo, Amazon , eBay
- 이후의 신규 진입 : Google, Wikipedia , Youtube
- 한국 시장
- 살아남은 기업: 네이버 , 넥슨, 다음
- PC통신의 완전한 몰락 :두루넷, 천리안, 야후
마이크로소프트의 위기
- 전략적 실패
- 전통적 패키지 소프트웨어, WIndows와 Office에 지나치게 의존
- 인터넷 시대에 느리게 적응 -> 이후 Google, Facebook 등에 밀림
- 돌파구 : 스마트폰 시장 - 실패, 게임 시장 - 중립적
- 초기 대응 = 웹 메일 hotmail + 메신저 MSN
- 1997년, 최초의 웹메일 서비스 hotamil 인수 -> 무료 이메일 서비스
- 인터넷 익스플로러
- NCSA에서 모자이크 브라우저를 라이선스 -> internet explorer 개발
- Windows 95,98에서 자동 설치 -> 당시 1위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를 밀어냄
- 미 법무부가 반독점법 위반으로 고발
웹 2.0의 등장
- 웹 2.0 =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생산/공유하는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
- 2003년, 오라일리 미디어 - 미디어 라이브 회사 간 회의 중 처음 작명
- 그 이전(웹 1.0) : HTML에 기초한, 데이터의 일방적 제공
- 웹 2.0 : 누구든지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환경 -> 게시판, 위키 , 블로그
- 발전 방향 :개방 , 공유 , 참여
- 닷컴 버블 붕괴 이후 , 성장하는 인터넷 기업들의 공통점으로 부각
- 위키피디아, Youtube , Google
- 웹 1.0이란 용어는 없었음
- 웹 2.0은 그 이전과의 구분을 위한, 비즈니스 용어
- 기술적 변화로 구분하지는 않음
구글의 시작
Search Engine
- = 검색 엔진
- 원하는 웹 페이즈들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 세계 시장 점유율
- Bing
- Yahoo
- YANDEX
- Baidu
- 스탠퍼드 대학 , 컴퓨터학과 대학원 과정
- 1993년, 세르게이 브린 , 메릴랜드 대학 졸업 -> 스탠포드 진학
- 프로젝트 : 사람들이 영화를 평가하는 알고리즘 개발
- 1995년 , 레리 페이지, 미시간 대학 졸업 -> 스탠퍼드 진학
- 프로젝트 : 세상 모든 웹 사이트를 크롤링
- 1993년, 세르게이 브린 , 메릴랜드 대학 졸업 -> 스탠포드 진학
- 공동 프로젝트 : BackRub 알고리즘 개발 -> 페이 키 랭크 알고리즘
- 기존 웹 사이트 평가 방법 = 키워드가 많이 나오는 웹 사이트가 우수하다
- 새로운 가설= 많이 언급/link 되는 웹 사이트가 우수하다
- 논문 작성을 위한 검증 단계 : 모든 웹 사이트의 링크를 역추적, 통계처리
- 1996년, 스탠퍼드 내부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 폭발적 인기
Google의 시작
- 구글 서비스 시작
- 구골 = 10^100 의미 -> 다른 회사가 사용 중 -> Google 사용
- 벤처 캐피털 유치 성공 -> 차고에서 Google.Inc. 창업
-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 -> 크롤링/알고리즘 처리 하드웨어 구매 비용 절실
- 지도교수 데이비드 체리턴, 제프리 울만 인맥 동원
- 앤디 벡톨샤임 : 썬 마이크로 공동 창업자 , 10만 달러 최초 투자
- 람 슈리람 : 에인절 투자자 , 25만 달러 투자
- 제프 베이조스 : 아마존 창업자, 투자 결정
레리 페이지
- 페이지 랭크 page - rank 알고리즘 창안자
- 웹 페이지의 순위를 link 된 숫자로 계산하는 방식 제안
- 구현 : 세상 모든 웹 페이즈 크롤링 + 서버 분산 처리
- 구글 초대 ceo
구글 = 놀이터형 회사의 탄생
- 1999년, 팔로 알토 도심 빌딩으로 이전
- 간식, 마사지, 서비스, 요리사 고용 등등 -> 놀이터 문화 형성
- 람 슈리람의 벤처 캐피털 유치
- 빅 2 벤처 캐피털, 세콰이어 캐피탈, kpcb의 동시 투자 유치 성공
- 투자가들의 걱정
- 관료주의를 싫어하는 두 창업자
- 구굴은 엔지니어 천국으로 흘러감
- 새로운 CEO 물색 -> 에릭 슈미트 합류
에릭 슈미트
- 미국의 사업가, 구글 2대 CEO
- 1975년 LEX프로그램 공동 개발
- 1983년 썬 마이크로시스템 CTO -> Java 개발 주도
- 리눅스 업체 노벨 CEO
- 2001년 ~ 2011년 구글 2대 CEO
- 구글 성공 요인?
- 1. 창업 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 직원 만족 정책 +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핵심사업 70% : 관련 사업 20% , 신규사업 10% 유지
구글의 성장
- 2004년, Gmail 서비스 시작
- 2005년, 구글어스, 구글맵 서비스 -> 매쉬업 시작
- 2005년, 안드로이드 인수
- 2006년, 유튜브 인수
- 2008년, 크롭 웹 브라우저 출시
- 2011년, 위키피디아에 50만 달러 기부
- 2014년 무인 자동차 일반 공개
매쉬업
- 웹으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제품/서비스/DB를 만드는 것
- 웹 2.0의 구성 요소
- 구글/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 등에서 공개 API 제공 -> 새로운 UI 개발 가능
- 장점 : 기존 자원의 활용 -> 저 비용
- 단점 : 공개 API 제공자에 종속적
- 공개 API = 오픈 API , openAPI
- 개발자에게 소프트웨어/서비스의 프로그래밍 권한 제공
- 예 : 구글맵, 네이버 지도
Don't evil
- Don't be evil = 사악해지지 말자
- 2000년~2018년 , 구글의 행동 강령
- gmail 서비스 개발 시 , 다른 e-mail 업체와의 차별성
- 단기 이익을 위해서 장기간의 이미지/신뢰성을 포기해서는 안된다
- Do the right thing = 옳은 일을 하자
- Imagine the unimaginalbe =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광고 수익 모델
GoTO.com , Overture
- 빌 그로스
- 미국의 사업가, 다양한 스타트업 창업/매각
- 검색 광고 모델 : Cost- Per- Click 모델 창안
- 최초 : GoTo.com의 사업 모델
- 검색 엔진 결과에 , 광고 룰 붙임 -> 광고 클릭 시 광고비를 받는 수익 모델
- 회사명을 Overture로 변경
- 구글에 피인수 제안 -> 구글에서 거절
- 2002년, 특허 침해로 구글 고소 -> 2003년, 구글이 주식 배상으로 합의
구글의 수익 모델 모색
- 2000년, Adwords 모델 테스트
- 키워드 검색 -> 미리 등록한 광고 업체의 광고 노출
- Cost-Per-Mile 모델 = 노출 횟수에 따라 광고비 징수 -> 인기 없음
- 2001년, 에릭 슈미트 , 쉐릴 샌드버그 영입
- 쉐릴 샌드버그가 AdWords에 Cost-Per-Click 모델 적용
- 2002년, Cost-Per-Click 모델로 개선
- 구글이 확실한 수익 모델 확보 -> 롱 테일 비즈니스의 시작
- 구글 Adsense로 발전- > 개인 홈페이지에 구글 광고판 유치
- 2008년, 샌드버그 , 저커버그 권유로 페이스북으로 이적
쉐릴 샌드버그
- 2008~2022년, 페이스북/메타 이인자, coo
- 페이스북 광고 모델 개선 -> 페이스북의 흑자 전환 주도
- COO= 최고 운영 책임자
- 2022년 , 페이스북이 메타로 변화하는 시기에 떠
'학교 > it기술경영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기술경영개론] - 기업 조직 (1) | 2022.12.14 |
---|---|
[IT기술경영개론]- 산업구조 (0) | 2022.12.14 |
[IT기술경영개론]-애플2 - 8비트 PC (4) | 2022.12.12 |
[it기술경영개론] - 5개의 에이스 (4) | 2022.10.14 |
[it기술경영개론]-기술 경영과 와해성 기술 (1)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