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경영개론]- 산업구조

2022. 12. 14. 01:38· 학교/it기술경영개론

산업의 분류

 

경제-산업-기업의 계층 구조

  • 국가 경제 = 제품 생산/가공을 위한 모든 활동
    • 여러가지 산업으로 구성
  • 산업 = 경제의 하위 개념, 경제 내부의 일부 사업
    • 산업 내에 많은 기업이 존재
    • 산업은 실체가 없지만, 기업은 실체가 있다
  • 기업 = 산업 내부의 사업체
    • 경제활동의 주체
  • 산업 구분의 중요성 ?
    • 특정 산업에 규칙/규정 적용 -> 해당 산업에 속한 모든 기업에 적용

산업과 산업구조

  • 산업 = 재화/서비스를 생산하는 경제활동 조직
    • 생산하는 재화/서비스 종류에 따라 산업의 종류를 구분
    • 산업계마다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경영/관리 방법 필요
  • 산업 구조 = 전체 경제를 구성하는 각 산업의 상대적 중요성

 

클라크의 산업 분류

  • 1차 산업 = 자연으로부터 자원을 직접 채취하는 산업
    • 농업,축산업,어업,임업,수산업 등
  • 2차 산업 = 1차 산업 생산물과 천연 자원을 가공하여 재화/에너지 생산
    • 광업,건설업,전력업,제조업
  • 3차 산업 = 1차/2차 산업이 생산한 재화의 이동/소비/축적과 관련된 산업
    • 금융업, 보험업, 유통업, 서비스업
  • 콜린 클라크 = 영국/호주 경제/통계학자
    • 경제의 발전에 따라, 1차 산업 -> 2차산업-> 3차 산업으로 노동인구 이동
  • 윌리엄 페티 = 영국의 경제학자
    • 페티의 관찰 : 농업보다는 제조업, 제조업 보다는 상업의 이익이 높다
    • 페티-클라크의 법칙 : 1차보다는 2차, 2차보다는 3차 산업의 이익이 높다
  • 4차 산업 = 지식 산업
    • 3차 산업 중 정보/지식을 자본으로 하는 기업들을 구분
    • 미국 내 국민 총생산의 1/3 이상을 차지
    • 정보 배포/공유, 정보기술, 연구개발, 지식기반 서비스 등
  • 페티-클라크 법칙의 실패 상황 발생
    • 자동화/무인화로 3차 산업 중 종사자 비중이 감소하기 시작
    • 고용없는 (3차/4차 산업) 성장 발생 -> 실업률이 낮아지지 않음
    • 미국에서 제조업의 부활을 자주 언급/시도 하는 이유

산업의 정의

  • 경제학적 정의 - 수요 대체성 기준
    • 수요자들이 같거나 비슷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 서로 바꾸어 구매/ 사용하기가 쉬운 제품/서비스의 집합 =산업
    • 쌀,밀 보리 등 -> 서로 대체 관계 =>  농업으로 정의
  • 경제학적 정의 - 가격 상관성 기준
    • 두 재화의 가격 상관관계까 높으면 두 재화가 같은 산업에 속함
    • 쌀 값이 오르면, 보리 값도 오른다 -> 같은 산업(농업)에 속함
  • 공학적 정의 - 생산 기술 기준
    • 생산기술/공정/제품 구조가 비슷한 제품 -> 같은 산업(농업)에 속함

 

산업의 분류

  • 표준 산업 분류 = SIC
    • 산업 관련 자료의 수집/정리/분석 등 통계적 목적
  • 한국 표준 산업 분류 = KSIC
    • 법적으로 업종 구분 시 많이 사용
  • 연구 개발 집약도에 의한 분류
    • 연구개발집약도 = (총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의 비율
    • 하이테크 산업 = 연구 개발 투자가 많은 산업
  • OECD 기준 기술수준 분류
    • 산업평균 기준, 선진국 기준
  • 산업별 기술혁신 패턴에 의한 분류
    • 기술 자체의 본질적 성격, 기술혁신 주체의 특성, 산업 구조의 특성 등 반영
    • 각 산업 분야별 구분 -> 별도의 기술혁신 전략/체계/관리 필요
      • 자원 집약형
      • 공급자주도형
      • 규모집약형
      • 전문공급자형
      • 과학기반형

 

거시적 산업 구조

  • 산업 구조 = 전체 경제를 구성하는 각 산업의 상대적 중요성
  • 거시적 산업 구조
    • =산업간 구성, industrial portfolio, inter-industry structure
    • 전체적인 국가경제 시스템 안에서 개별 산업의 상대적 비중
  • 우리나라의 산업 구조 변화
    • 농어업중심 -> 공업중심
    • 경공업중심 -> 중화학공업 중심
    • 노동집약적 산업 -> 자본집약적 산업 -> 기술집약적 산업 중심
    • 제조업 중심 -> 서비스업 중심
  • 거시적 산업 구조 분류
    • 투입 구조 input structure
      • 고용구조
        • 어느산업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종사
      • 자본 구조
        • 어느 산업에 얼마나 많은 설비투자가 이루어지는가
    • 산출구조
      • 총산출구조
        • 어느 산업에 얼마나 많은 최종생산물이 나왓는가
      • 부가가치 구조
        • 어느 산업에서 얼마나 많은 최종 생산물의 부가가치가 만들어 졌는가

시장구조 = 미시적 산업 구조

  • 시장 구조 = 미시적 산업 구조
    • 특정 산업 내부에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어떤 관계를 이루는지 표현
  • 산업 집중도
    • 산업을 지배하는 힘이 어느정도로 집중되어 있는가
      • 완전경쟁
      • 독점적 경쟁
      • 과점
      • 독점

 

 

CR = Concentration Ratio, 집중도

  • 특정 산업에서 기업의 시장 점유율의 집중 정도를 계산하는 지표
    • CR  n = C1 + C2 + ... Cn
      • Ci= 해당산업에서 i번쨰로 큰 기업의 시장 점유율
      • n = CR 계산에 몇 번째 기업까지 넣을지를 표시
    • 장점 : 계산하기 쉬움
    • 단점 : 개별 기업의 집중도가 드러나지 않음.
    • 보통 CR4 또는 CR8 사용

 

HHI  = 허핀달-허쉬만 지수

  • =Herfinadahl-Hirschman Index, HH score
    • 허핀달지수 , HI , Herfinaldahl Index
    • 허핀달 = 미국 경제학자 , 허쉬만 = 독일의 경제학자
    • HHI = C1^2 + C2^2 + ... Cn ^2
    • Ci=해당산업에서 i번쨰로 큰 기업의 시장 점유율
    • n = HHI 계산에 몇번째 기업까지 넣을지를 표시
    • HHI 값은 0.0~1.0 사이 -> 편의상 100또는 10,000을 곱해서 사용가능
    • 보통 가능한 많은 업체를 계산에 넣음

  • 반독점 법에서의 응용
  • 현 시장 점유율
    • 3개 업체 : 40, 40, 40
    • HHI = 0.4^2 + 0.4 ^ 2 + 0.2 ^ 2= 0.36
  • 합병 신청 : 1위 업체 + 2위 업체
    • 합병 후 예상 점유율 : 8 : 2
    • HHI = 0.8^2 + 0.2 ^ 2= 0.68 > 0.6
    • 독점으로 판정, 합병 불가 판정 가능

산업분석모델

 

포터의 5 Forces 모델

  • 포터 = 미국의 경영학 교수
    • 하버드 MBA 교수
    • 경영전략의 선구자
    • 현대 경영학의 3대 대가 = 피터 드러커, 마이클 포터, 톰 피터스
  • 5 Forces Model 
    • 1979년 논문에서 제시한 "산업구조 모형"
    • 특정 산업의 수익률을 결정하는 5가지 요소를 제시
    • 포터의 주장/근거 : 산업의 구조가 기업 경쟁력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
    • 반론 : 5 Forces 이외의 요소들을 무시하고 있음(정부, 정치, 국제 상황 등)
  • 특정 산업 내에서 5개 요소
    • 내부경쟁: 산업 내 경쟁 기업
    • 대체품 : 대체재로 사용가능한 제품/서비스
    • 잠재 진입자 : 해당 산업에 새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
    • 수요자 : 완제품/부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또는 기업
    • 공급자 : 원자재/부품을 공급하는 기업

  • 5개 요소가 가하는 압력
    • 내부 경쟁자 : 경쟁 기업이 새로운 제품/서비스 출시, 경쟁 유도
    • 대체품 : 대체제로 가격 하락 유도, 고객 선호도 이동, 혁신 제품 출현
    • 잠재 진입자 : 새로운 기업의 신규 진입으로 경쟁유도
    • 수요자 : 수요자 우위 -> 가격 협상 요구
    • 공급자 : 공급자 우위 -> 가격 협상 요구

 

기업의 형태

 

기업

  • 기업,회사,상사
    • 가치/영리추구/이윤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
    • 단체 내에서 소유와 노동의 분리가 핵심
      • 소유자(경영자,사용자) -> 경영을 책임
      • 노동자 -> 생산을 책임
  • 사회적 기업
    •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동시에 영리 추구
    • 일자리 제공형, 지역사회 공헌형 ,,..
  • 비영리 단체, 비영리기관
    • 편의상 "비영리 기업"이라고 함
    • 정부,종교 기관, 시민 단체 등

 

자연인,법인, 개인 사업자

  • 자연인 = 생물학적 육체를 가진 인간
  • 법인 = 자연인 이외의 법률상 권리의무 주체
    • 자연인이 아니면서 법률상의 권리를 가지는 대상
  • 개인 사업자 = 자연인인 개인이 사업 주체
    • 소득/부채 모두 개인 1인의 것 -> 소득에 대해서는 종합소득세 과세
    • 등록된 사업자 1인이 경영의 모든 책임
  • 법인 사업자 = 법인이 사업 주체
    • 법인 스스로 권리와 의무의 주체 -> 소득에 대해서 법인세 과세
    • 법인이 고용한 근로자, 법인 투자자 -> 개인별 소득세 별도 과세

법인 사업자 구분

  • 우리나라 상법 상, 다음 5가지 가능
    • 주식회사 - 가장 일반적
    • 유한 회사 = 지분 변경, 외부 투자가 어려움 -> 외국계 기업 한국 지사
    • 유한책임 회사 - 사원들이 파트너 -> 법무법인, 회계법인
    • 합명회사 - 소수의 공동 기업 -> 범무법인, 회계법인
    • 합자회사 - 1명이 무한 책임을 지는 합명회사

대기업 vs 중소기업

  • 대기업, 중소기업
    • 분류 기준 : 매출액, 종업원 수 , 자본금
    • 중소기업 또는 소기업에 특혜 조항이 있음
  • 국내 중소기업 범위 기준
    • 중소기업기본법, 2015년 이후 단일 기준
    • 현재의 분류기준 = 최근 3년간 평균 연매출액
    • 일반 제조업 : 1500억원 이하
    • 교육/과학기술/정보서비스업 : 400/600/800억원 이하
  • 소기업 기준
    • 교육/과학기술/정보서비스업 : 10/30/50억원 이하

1인 주식회사, 1인회사

  • 주식 회사의 지분 100%를 1인이 소유한 경우
    • 미국 개인 기업의 절대 다수
    • 한국에서도 판례로 인정시작
      • 자본금 제한이 사려져서, 매우 작은 자본금으로도 설립 가능
  • 1인 기업 = 법인 사업자=주식 회사
    • 법인 및 주식회사만 신청/활동할 수 있는 직종/분야가 있음.
    • 법인 및 주식회사 로서의 장점을 가짐 -비용처리, 수익/손실의 이월 등
    • 단점도 있음. - 반드시 세무사무소의 장부 기장을 받아야함.
    • 법인 등기부, 사업자 등록증등에서 별도주소 + 부동산 계약서를 요구할 수 있음.
    • 프리랜서, 아르바이트 고용은 가능

 

기업 지배 구조, 거버넌스

 

주식 회사와 주주

  • 주식회사 설립 단계
    • 발기인들이 초기 자본금을 확보, 주식 발행
    • 자본금 투입 비율에 따라 주식을 받음
    • 매년 수입/지출을 결산하고, 수익을 배분하여, 주식 1주당 배당금을 분배
    • 주주총회에서 주식1주당 1표 행사
  • 주식의 거래
    • 주식 = 배당금 분배 + 주주 총회 투표권
    • 주식을 매도/매수 가능 -> 주주 변동 가능 -> 주식회사의 가장 큰 특징
  • 주주 = 주식 소유자 : 팔고 떠나면 된다 . -> 단기 이익 추구

이해 관계자

  • stake 스테이크
    • 말뚝
    • 지분,이해관계,판돈
  • stakeholder
    • 도박판의 판돈을 보관하고, 게임을 진행/관리하는 사람
    • 기업(의 성공)과 관련된 사람들 -> 이해 관계자
    • 납품업자, 공급처, 소비자 , 직우너 등등 -> 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하기를 기대

 

기업 지배 구조

  • 기업 지배 구조 = governance, 거버넌스
    • 기업의 여러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
    • 기업 경영을 감시/규율하는 행동/기구
  •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커진 이유
    • 현대 기업의 성장, 규모의 증가 -> 주주와 경영자의 분리
    • 주주/경영자 간의 이해 상충
  • 현대 기업 거버넌스의 목표
    • 기업 스캔들의 방지
    • 기업의 수익 강화
  • 내부 거버넌스
    • 기업 전반의 내부 활동에 대한 견제와 균형 역할
    • 핵심 조직 : 이사회,주주총회, 내부 감사, 노동조합 등
  • 외부 거버넌스
    • 외부에서 기업/경영자의 경영활동을 감시/통제 하는 역할
    • 핵심조직 : 외부 감사, 금융 기관, 주식시장 등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총 비용 곡선 (total cost curve)

  • 생산 함수 Q=f(K,L)
    • 투입 : 총비용 Total cost = 자본 k + 노동 L
    • 산출 : 산출량 quantity
    • 실제 관찰 결과, 직선이 아니고, 곡선으로 나옴 -> 총 비용 곡선

 

규모의 경제 

  • 규모의 경제 = 규모의 이익
    • 자본(K) / 노동(L)의 투입 규모가 커질수록 장기 평균 비용이 줄어드는 현상
    • 생산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평균 비용 Average Cost이 감소하는 현상

  •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는 원인
    • 대규모 설비의 경제성
      • 초기 투자비 등, 고정 비용의 분산
    • 대량 구매에 따른 원가 절감
    • 재고 관리, 마케팅 등의 기타 비용 절감
    • 전문화 효과
      • 각 개인/조직의 역할 세분화 -> 전문성/생산성 증대

학습 곡선 learning curve

  • 교육 분야에서의 의미
    • 학습의 진행, 행동 발달 상황 도표로 나타낸 곡선
    • 학습에 투입 된 시간 대비 학습 성취도 
  • 경제/경영 분야에서의 의미
    • =경험 곡선
    • 누적 생산량이 늘어날 수록 단위 생산비는 감소
    • 작업자의 학습/숙련화에 따른 생산 효율의 증가

 

규모의 비경제 ( dis-economics of scale)

  • 규모의 비경제
    • 최적 수준을 초과하면, 평균 비용이 증가하기 시작
  • 원인 : 사내 소통비용의 증가, 중복 업무, 경영진의 비대화

 

범위의 경제 economics of scope

  • 기업의 (생산) 범위 = 기업의 생산 품목의 범위
  • 범위의 경제 economics  of scope
    • 1개 기업이 2개 이상의 제품을 함께 생산할 때, 각각을 따로 생산하는 경우보다 생산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현상
  • 총 비용 함수 TC(Q1, Q2) = 품목 1을 Q1개, 품목2를 Q2개 생산하는 총비용
    • TC(Q1,0) = 품목 1만 Q1개 생산하는 총 비용
    • 범위의 경제 : TC(Q1,Q2) < TC (Q1,0) + TC(0,Q2)
    • 범위의 비경제 : TC (Q1,A2) > TC(Q1,0) + TC(0,Q2)
  • 범위의 경제가 발생하는 원인
    • 생산 자원의 공유 효과
    • 부산물의 활용 효과
  • 범위의 경제 성공 사례
    • 많은 칼국수 집 : 수제비, 칼제비도 메뉴에 추가
    • 빅 펜 : 저가 볼펜 생산 -> 플라스틱 사출 기술 확보 -> 1회용 라이터 생산 추가

규모의 경제 vs 범위의 경제

  • 다른 용어이지만, 혼동하는 경우가 많음
    • 개념적으로는 분명히 독립적
      • 규모의 경제 : 1개 상품에 대한 분석 관점
      • 범위의 경제 : 2개 이상 상품에 대한 분석관점
    • 다만, 원가 절감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고 봄
  • 근대에 들어와 출현
    • 대기업의 탄생 + 유통 인프라의 구축 -> 규모의 경제 , 범위의 경제 가능해짐
    • 범위의 경제 -> 사업 다각화, 기업군의 탄생을 가져옴

기업의 확장

  • 기업의 확장 방법
    • 수직적 통합
      • 전방통합
      • 후방통합
    • 수평적통합
      • 시장 지역 확대
      • 시장 범위 확대
      • 제품 라인 다양화
    • 사업 다각화
      • 관련 다각화 -기존 비즈니스의 연장선
      • 비관련 다각화 - 관련 없는 신산업에 진출

 

수직통합

  • 수직 계열화 = 수직통합전략, 수직 확장전략
    • 한 기업이 생산 과정의 한 단계에서 출발해서 다른 단계로 범위를 확대
    • 생산 과정에서, 한 기업이 다른 단계의 기업과 통합
    • 법인 합병 또는 장기 계약/전략적 제휴
  • 사례 : 현대자동차 - 현대제철 인수/계열화
  • 사례 : 현대자동차 - 현대캐피탈 창립
  • 반대개념 : 아웃소싱
    • 기업 내부 활동을 외부의 제3자에 위탁해 처리
  • 상류 부문 = 원자재에 가까운 영역
    • 후방 통합 = 상류 부문으로 확장
  • 하류 부문 = 유통 쪽에 가까운 영역
    • 전방 통합 = 하류 부문으로 확장

수평통합

  • 성시장의 범위를 점차 늘려나가고 제품의 종류를 다양화 시켜 나가는 활동
    • 시장지역 확대
    • 시장범위 확대
    • 제품라인 확대
    • 경영활동/기능 확대
  • 어떻게 수평 통합을 이루는 가?
    • 같은 업종의 회사를 인수합병
    • 내부확장 = 공장/유통 조직을 확장
  • 사례 : 현대 - 기아 합병

 

다각화

  • 새로운 사업 영역이나 시장을 개척하여 기업의 범위를 확장
    • 긍정적인 경우 : 신기술을 확보하여 진출
    • 부정적인 경우 : 경영 부진 시에 유혹에 빠지기 쉬움
  • 성공 사례
    • 애플 : 컴퓨터 판매 -> 음악 유통 시장 진출
    • 아마존 : 인터넷 서점 -> 인터넷 종합 유통으로 다각화
  • 실패 사례
    • 제록스 : 복사기 제작 판매 -> 보험 진출 -> 실패
    • 레고 : 블록장난감 -> 컴퓨터게임, 유아용품, 캠핑용품 진출 -> 모두 실패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학교 > it기술경영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기술경영개론] - 인터넷-구글  (0) 2022.12.14
[IT기술경영개론] - 기업 조직  (1) 2022.12.14
[IT기술경영개론]-애플2 - 8비트 PC  (4) 2022.12.12
[it기술경영개론] - 5개의 에이스  (5) 2022.10.14
[it기술경영개론]-기술 경영과 와해성 기술  (1) 2022.10.13
'학교/it기술경영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T기술경영개론] - 인터넷-구글
  • [IT기술경영개론] - 기업 조직
  • [IT기술경영개론]-애플2 - 8비트 PC
  • [it기술경영개론] - 5개의 에이스
재한
재한
안녕하세요 💻
짜이한안녕하세요 💻
재한
짜이한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04)
    • Skils (118)
      • Android (52)
      • C++ (5)
      • Kotlin (36)
      • Algorithm (24)
      • Server (1)
    • CodingTest (228)
      • Programmers (45)
      • Baekjoon (183)
    • Experience (8)
      • 후기(코딩테스트,프로그램,프로젝트) (8)
    • Computer Science (70)
      • Design Pattern (2)
      • OOP (2)
      • Computer Architecture (14)
      • OS (2)
      • Software Engineering (3)
      • DataBase (8)
      • Network (39)
    • 학교 (75)
      • R프로그래밍 (26)
      • 회계와 사회생활 (17)
      • 컴퓨터학개론 (20)
      • it기술경영개론 (1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카테고리
  • 글쓰기
  • 설정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재한
[IT기술경영개론]- 산업구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