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man vs Entrepreneur
📗business, businessman 비즈니스 맨
- 사업가 - 이윤을 목적으로 사업/경영을 하는 사람
📗entrepreneur
- (고대 프랑스어) 군지휘관, 악단 지휘자 -> (현) 기업가
- 프랑스어 entreprendre에서 유래 (영어 : undertake 책임을 맡다)
- 영어 enterprise에 대응
📗entrepreneurship
- 기업가 정신 -> 혁신, 혁신의 추구
- entrepreneur -> 혁신가, 창업자로 변화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기업가 정신, 창업가 정신
- 18세기 아일랜드-프랑스 경제학자 리차드 캉티용이 최초 사용
- 새로운 사업 기회를 호착하고 생산 요소를 조정하는 과정
-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의 의미가 강함
📗entrepreneurship= 혁신, 혁신 경영
- 20세기 오스트리아-미국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가 주창한 개념
- 혁신=새로운 생산 방법, 새로운 상품 개발
- 기업가/혁신가 = 혁신을 이루는 창조적 파괴자
📕조지프 슘페터
- 미국의 경제학자
- 오스트리아 출신
- 독일 본 대학, 미국 하버드 대학 교수
- 많은 저서, 1912년작 "경제발전의 이론"
- 슘페터 경제학의 2가지 핵심
- 기술의 혁신 innovation = 자본주의를 이끄는 힘
- 기업가 entrepreneur = 혁신을 이끄는 주체
📕Entrepreneurship
- 가치 변화가
- 현대 경영학의 창시자 피터 드러커의 해석
- 위험을 감수하고,
- 기존의 것을 창조적으로 파괴하는 혁신을 통하여
-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서 수익을 실현하는 사람
-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작하고 밀어붙이는 기업가
- 행정적/법적/사회적 명칭이 아님
- 태도/행동/정신적 측면을 강조 -> "기업가 정신이란, 오직 실천뿐"
📕피터 드러커
- 미국의 작가, 경영학자, 경영 컨설턴트
- 오스트리아 출신, 자칭 사회생태학자
- 매우 많은 저서, 대표작 "매니지먼트"
- 기업 경영의 중심을 고객으로 설정
- 이전까지는 "영리 추구"를 기업의 목표로 간주
- 고객 중심 경영 + 근로자 존중 -> 현대 경영학에 공헌
- 20세기 후반의 많은 변화를 예측
- 민영화, 분권화
- 일본, 한국 경제의 발전 예측
- 정보화 시대 예측
📕기술혁신
📗혁신
- 18세기, 기존 사회 질서/제도에 대한 비판과 반항
- 혁명 revolution을 유도하는 부정적 의미의 단어
- 19세기, 발명가 inventor가 이루는 실용적 효용, 과학적 방법
- 긍정적 의미로 변화
- 특히 기술혁신의 의미로 변화 (revolution -> innovation)
📗슘페터의 기술 혁신 모형
- 기술 혁신이 경제 시스템의 성장을 가져온다
📕슘페터의 기술 혁신 모형
📗발명(invention)과 혁신(innovation)의 구분
- 발명 invention = 새로운 도구/기계의 고안
- 혁신 innovation = 생산 수단, 생산 시스템, 조직의 완전히 새로운 변화
📗창조적 파괴 (creative destruction)
- 새로운 기술이 기존의 기술 체계를 부수고, 새로운 체계를 쌓아가는 과정
- LP판 -> 카세트테이프 -> CD -> MP3 -> 스트리밍
- 전화 -> 페이저(삐삐) -> PCS -> 휴대폰 -> 스마트폰
📗와해성 기술 (disruptive technology)
- 업계를 완전히 재편성하고 시장 대부분을 석권할 신기술, 혁신 기술
📕슘페터의 기술 혁신 모형
📗19세기 경제 시스템의 인식
- 생산요소 = 토지 (생산시스템, 기술) + 노동 + 자본
- 자본가의 역할 = 노동의 고용주, 자본을 제공하는 자본 소유자
📗자본의 새로운 해석
- 펀드 = (완전히) 새로운 생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종잣돈
- 새로운 생산 시스템의 도입 -> 경제 시스템의 근본적 변화!
📗혁신적 기업가 entrepreneur
- 펀드를 조달하고, 이를 투입해서 새로운 생산 시스템을 만드는 사람
- 자본 소유자와는 별개
📕혁신적 기업가 (entrepreneur)
📗헨리 포드
- 기계 분야 엔지니어 출신 -> 자동차 생산에 집중
- 포드 자동차 설립자/회장 (1891~1945)
📗포드 모델
- 통산 1500만 대 판매
- 1908년 $825 (현재 가치 $24,880)
- 타사 자동차는 $2000~$3000
📗컨베이어 벨트 생산방식 (1913년)
- 생산기술의 혁신 -> 헨리 포드의 최대 업적
- 경쟁사 : 28만 대/ 66,350명 -> 포드 사 : 30만 대 /13,000명
- 숙련공에 대한 고임금, 주 5일제, 흑인 고용 - > 미국 중산층의 탄생
📕포드 자동차
📗포드 모터 컴퍼니
- 1903년 헨리 포드 henry Ford 가 설립
- NYSE(뉴욕 증권거래소) 코드 : F
- 미국 내 자동차 매출 3위 : 1위 GM , 2위 도요타
📗F시리즈 픽업: F-150 가장 미국적인 트럭
- 포드 매출의 절반 이상
- 35년 이상 픽업트럭 분야 부동의 1위
📗머스탱= 대표적 머슬 카
📗자회사 : 링컨 모터 컴퍼티 - 1939년 이래의 고급차 브랜드
📕새로운 entrepreneur
📗1970년대 미국 실리콘 벨리 silicon Vally
- 신기술 혁신 기업이 주도하는 벤처 붐
📗신기술 창업 venturing의 활성화
- 기존 entrepreneur = 기술 혁신에 투자하는 자본 조달자
- 새로운 entrepreneur = 신기술/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창업가
📗paradigm shift (패러다임 쉬프트)
- capital (운영 자본) -> fund (혁신 자본) -> technology(기술)이 더 중요
📗1908년대 이후 ICT 산업의 확산
📗기술혁신의 도메인 변화
- 디지털 혁신 digital innovation
- 기업 내부의 사업 부분에 ICT 신기술을 접목
- 내부 결재 시스템을 완전 온라인으로 전환
- 서비스 혁신 service innovation
- 고객 서비스/서비스 프로세스에 대한 혁신
- whole Foods : 파트에 오면서 메일로 recipe 요청/획득
- 지식 혁신 knowledge innovation
- 기술 혁신에 필요한 기반 지식을 적극 활용
📕슘페터 가설
📗가설의 핵심 : 대기업이 기술 혁신에 더 유리하다.
📗근거
- 대기업의 풍부한 자금력 -> 더 많은 연구개발 투자, 더 많은 기술혁신 프로젝트
- 잘 정비된 연구개발 관리체제 -> 높은 투자 효율성
- 위험을 흡수할 수 있는 여유
📗반론
- 대기업은 경직된 의사결정, 운영관리 -> 순발력이 떨어진다.
- 소기업이 신기술을 더 빨리 만들어 낼 수 있다.
📗현재까지의 검증 결과 : 선진국/후발국, 산업/시장에 따라 상황이 다르다.
📕대기업 성공 사례 : 3M
📗3M : 미국의 다국적 제조 기업
- 1902년 설립, NYSE 코드 MMM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광산업에서 출발 -> 매우 다양한 생산품 제공(현재 55,000종)
📗맥 나이트 회장
- 경리로 입사 -> 1929~66년 회장/이사회 의장 역임
- 비즈니스 철학 : (연구진)을 그냥 놔둬라
- 인재를 고용하고, 자율성을 부여하면, 새로운 것을 시도한다.
📗핵심 가치 : 3M이 하는 일은 새로운 일을 생각해 내는 것이다.
📕bootlegging policy
- bootlegging : (원래 뜻) 밀주 제조 -> 몰래 하는 일-> 비공식 혁신 업무
- R&D 연구자는 근무 시간의 최대 15%를 업무 외 용도로 쓸 수 있다.
- 실패작에 대해서도 선별적 자금 지원 유지
📗Post-IT의 반전
- 1968년 Dr.Spencer Silver의 초강력 접착제 프로젝트
- 낮은 접착력의 실패작 탄생
- 1974년 Arthur Fry가 실패작을 책갈피로 사용
- bootlegging policy로 업무 시간에 post-it 개발
- 1970년 제품화 성공
💡슘페터 가설 반례
📕맥도널드 사례
📗McDonald's : 미국 패스터 푸드 업체
- 1940년 맥도날드 형제, McDonald's BBQ 식당 창업
- 리처드 맥도널드, 모리스 맥도날드
- 1955년 레이크록,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개편
📕소기업 성공 : 맥도날드 형제의 혁신
📗스피디 시스템 = 주방의 컨베이어 벨트화
- 바비큐 요리 중심 -> 사이드 메뉴인 햄버거, 감자튀김, 콜라에 집중
- 요리사가 1개 요리 전체를 담당 -> 각 단계별 아르바이트생 고용
- 조리시간 30분 -> 주당 동선, 조리 기구의 효율화 -> 30초
- 결과 : 패스트푸드 산업의 시작
📕레이 크록
📗53세에 맥도널드 공동 창업
- 그 이전 : 믹서기, 종이컵 영업 사원
- 대용량 밀크셰이크 기계를 대량으로 사가는 레스토랑 출현
- 직접 확인하러 방문 -> 맥도널드 형제의 햄버거 가게
- 1955년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확장
📗프랜차이즈 모델의 개선
- 맥도널드 본사가 지역 매장을 매입 -> 매장을 점주에게 임대
- 사실상, 부동산 임대업
- 햄버거 학교, 700 페이지 매뉴얼 -> 점주/매니저 교육 -> 통일된 서비스 제공
📗레이 크록도 분명한 Entrepreneur이다!.!
📕레이 크록의 혁신
📗1974년 텍사스 대학교 강연
- 대부분의 사람들은 레이 크록이 햄버거 사업을 한다고 생각했지만 레이 크록 본인은 햄버거 사업이 아닌 부동산 사업을 한다고 강조
- 프랜차이즈 사업의 성공은 체인점의 위치가 가장 중요하다.
📗맥도널드의 부동산 전략
- 다른 프랜차이즈 매장 : 매장 구입/임대료는 체인점 점주가 부담 (비싼 초기 비용)
- 맥도널드 : 매장은 본사가 구매 -> 매달 임대료 부담 (초기 비용이 쌈)
- 본사의 이익 : 매달 부동산 임대 수익을 올린다
- 위험 요소 : 부동산 비용을 본사가 모두 부담 -> 좋은 위치 선정이 필수
'학교 > it기술경영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기술경영개론]-세계IT기술의발전11 (0) | 2022.10.13 |
---|---|
[it기술경영개론] - 기업가의 관점 (1) | 2022.10.13 |
[it기술경영개론] - 기술경영개요(2) (0) | 2022.10.13 |
[it기술경영개론] - 과목 소개 (2) | 2022.10.13 |
[IT 기술경영개론] - 기술경영개요01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