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수준의 지성
📕조금 다른 관점이 필요
- 대한민국 교육 기본법과 다른 좀 더 실용적인 관점이 필요함.
📕프랜시스 피츠 제럴드
📗최고 수준의 지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동시에 상반된 생각을 하면서도 흔들리지 않는 능력이다.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 위대한 개츠비 = 미국 문학사에서 20세기 최고의 작품
📗젤다 세이어와 결혼
- 미야모토 시게루 : "위대한 개츠비"와 피츠 제럴드를 좋아함.
- 1986년 "젤다의 전설" 출시 -> "젤다 공주"의 모티브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Rich Dad, Poor Dad)
📗1997년, 로버트 기요사키, 샤론 레흐트 저
- 2000년, 한국어 번역판
- 당시, 총 5권의 시리즈 간행물
📗한국의 시대적 배경
- 2000년 = 1997년 IMF 외환 위기에서 겨우 진정되기 시작
📗특징
- 재테크 책 치고는 수명이 매우 길다 - 20년 이상 팔림 - 재테크가 아니라, 철학/관점에 대한 책
- 불호가 매우 많다 - 삶의 방식/철학에 대한 불편한 진실/충고
- 삶에서 돈이 최고의 가치가 되는 것이 불편하다
📕로버트 기요사키
📗Rich Dad Company 소유, 미국 기업가
- 금융 교육 분야에서 성공
📗Cashflow game
- 블루-마블 게임 + 부동산/투자 개념 추가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 1997년 출파, 109개국, 51개 언어, 4천만 권 이상 판매
- 주의 : 논란이 많고,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림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자전적 회고 형식(사실과 허구의 중간 쯤)
📗소년 시절, 하와이 섬에서 일본계 미국인 소시민 가족에서 성장
- 친아버지는 교육 공무원(직업 관료) -> 가난한 아빠 poor dad
주변의 부잣집 아이들이 부러워서,
친구 마이크와 사업을 시작
- 마이크의 아버지는 사업가(자수성가) -> 부자 아빠 rich dad
📗2명의 아버지가 완벽히 다른 철학을 제시
- 혼란 속에서 자신의 길을 간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가난한 아버지(친아버지)
- 봉급생활자/관료 모델
- 박사학위, 성공적 캐리어
- 고액 연봉자였으나, 평생 돈 문제로 고생
- 돈은 중요하지 않다.
- 돈을 사랑하는 것이 모든 악의 근원
- 나는 돈에 관심이 없다
- 미국 정부의 관료로서 성공하려고 노력
- 성공할수록 더 많은 세금을 사용
📗부자 아버지(친구 mike의 아버지)
- 사업가/투자자 모델
- 중학교 주오 티
- 나중에 하와이 최고 갑부 중 1명
- 사후에 상당한 금액을 기부
- 돈이 곧 힘이다
- 돈이 부족한 것이 모든 악의 근원
-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해라.
- 사업가로서 성공하려고 노력
- 성공할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납부
📕자산과 부채의 정의
📗(과거 미국) 일반인의 생각
- 일반적 상황 : 미국인들은 "주택 담보 대출"로 주택을 구입
- 내게는 "집이 1채" 있다. -> 나의 자산 (혹은 재산)
📗기요사키의 새로운 정의
자산(asset) = 내게 수입을 가져다주는 것
부채(dept) = 내게 지출을 초래하는 것
📗"집 1채"의 새로운 해석
- 대출을 끼고 사서, 매달 대출금 이자를 내야 하는 집 -> 나의 부채
- 집의 일부를 세를 주어서, 매달 원세를 받는 집 -> 나의 자산
- 월세도, 대출도 없는, 주거용 집 1채는 -> 나의 안식처
📕자산을 늘리는 방법은?
📗부자 =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하라"
- 부동산에서 월세 수익이 나오거나
- 채권/주식에서 배당이 나오거나
- 저작권/특허에서 수익이 나거나
- (합법적 범위)
📗일반인이 자산을 만드는 방법
- 절약/저축 -> 종잣돈부터 만들어야 한다.
- 종잣돈 + 대출 -> 수익형 부동산 구매 -> 수익으로 대출 상환
- 지속적 수익을 저축 -> 원금 + 대출 -> 부동산 추가 구매 -> 대출 상환
📕반론
📗기요사키 주장
- 종잣돈 + 대출 -> 수익형 부동산 구매 -> 수익으로 대출 상환
📗반론 1: 부동산 맹신
- 부동산 시장이 폭락할 수도 있음. -> 미국/일본은 번번이 폭락
- 부동산을 추월하는 다른 재테크 수단도 가능 -> 채권, 주식
📗반론 2: 너무 높은 부동산 가격
- 일부 지역에서는 구매 자체가 불가능할 수가 있음.
🔎기업가의 관전
📕가난한 아빠 - "과거 미국" 정부 관료의 입장
📗가난한 아빠-(1970년대에) 꾸준히 승진하여 하와이 교육감이 됨
- "과거 미국" 정부에서 관료로서 성공하고자 노력
📗"과거 미국"정부에서 관료가 성공하는 방법
- 올해 예산을 완벽히 소진 -> 예산 부족 선언 -> 내년 예산 증액
- 예산 증액 -> 집행할 사람 부족 -> 인원 보강 연구
- 업무 과다를 주장, 또는 더 많은 업무를 벌임-> 인원 보강 요구
- 인원 보강 -> 인건비 추가 요구, 더 많은 업무가 가능함 -> 내년 예산 증액
📗"과거 미국" 정부의 관료 평가? - 조직의 확대가 최고의 성과
- 더 많은 인원으로, 더 많은 예산을 집행해야 성공
- 예산의 효율성은 평가 항목이 아님.
📕부자 아빠 -"과거 미국"사업가의 입장
📗순수익 = 매출 - 비용
📗매출의 증대 방법?
- 좋은 제품, 생산, 마케팅,...
📗비용의 감소 방법?
- 인건비를 아끼고, 들어가는 비용을 아끼자
- 최고의 성과? - 최소 인원, 최소 비용으로 주어진 업무 달성
- 비용(또는 예산)을 절약할수록 좋다
- 인원을 줄일수록 좋다(인건비 절약)
📗효율성의 추구
📕봉급생활자와 고용주의 관점 차이
📗봉급생활자
- 내 월급만큼 일해 주면 된다
- 내 월급 = 내가 받는 돈
- 세금
- 4대 보험
- 신경 쓸 필요 없음
📗고용주
- 직원 1인당 비용 =
- 인건비 + 4대 보험
- +사무실 임대료
- 가구/집기/소모품 비용
- 자원 조직 유지비
- 관리직, 회계직 등등의 비용
📗결론
- 자기 연봉의 2.5~3배를 벌어와야 고용주 입장에서는 1명 몫을 한 게 된다.
📕기업이 성공하면 사내 정치 시작
📗창업자, 기업 소유주, 주식 소유자 입장
- 기업은 당연히 효율성을 중시
- 최대 수익을 위해서,
- 최소 비용만 지출해야 한다.
📗중간 관리자 입장
- 이 기업은 내게는 일자리일 뿐이다.
- 승진하려면 인사권자의 평가가 좋아야 한다.
- 정상적인 인사시스템: (능력 + 실적) 순서로 승진
- 다른 방법을 찾음 -> 사내 정치 시작 -> 파벌/관료주의 팽배
- 인사 시스템이 망가지면 -> 가장 능력 있는 직원부터 이탈
📕"과거 미국" 학교 시스템에 대한 문제 제기
📗A학생,B학생,C학생
- A학생: 학자
- B학생 : 관료 - 전문 경영인, 관리자 포함
- C학생 : 자본가 - 기업가, 소상공인 포함
📗이 책은 금융 교육, 기업가 정신 등에 대한 교육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이로봇
📕iRobot Corporation 아이로봇
📗미국의 로봇 전문 테크 기업
- 군용/업무용/가정용 로봇 설계/개발/생산 업체
📗1990년, MIT 미디어 랩 출신 석사 3명이 창업
📗1998년, 미 국방성 계약 수주
- 군용 로봇 제작: 5,000대 이상 제작
📗외부 사건 : 2001년 스웨덴에서 최초의 로봇 청소기 출시
corporate entrepreneurship 달성 : 군용 로봇 -> 가정용 로봇
📗2002년, 가정용 로봇 제작으로 전환
- 유통채널 개척, 소비자 대상 광고
- 2004년까지 로봇 청소기 룸바 1백만 대 판매(최초의 상업적 성공)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2011년 3월 11일
- 지진/쓰나미
- 원자로 침수
- 원자로 3기 폭발
📗초기 복구 작업
- 당시 일본은 "Robot Japan" 광고
- 일본산 로봇의 투입 -> 모두 실패
📗아이로봇 사의 군용 로봇 팩봇, 워리어 투입 , 진입 성공
📕벤처 CEO의 관점
📗콜린 앵글 CEO
- 1990년 MIT 미디어 랩, 컴퓨터과학 석사 졸업
📗1990년 iRobot 창업
- 은행 대출 10만 달러, 신용카드 대출 1만 달러
- 직원 6명, 아파트를 사무실로 사용
📗인터뷰 일부 발췌 : 창업 후 6년 반 동안
- 이번 달 월급은 또 어떻게 마련하나 라는 고민으로 한 달을 시작했다.
- 직원들과 함께 하루 18시간씩 일했다.
- 우리는 팔리는 로봇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성능은 좋아야 했고, 가격은 낮아야 했다.
📕로봇 산업의 현황
📗휴머노이드 또는 2족/4족 보행 로봇
📗혼다 ASIMO
📗Boston Dynamics
- 미 국방성 연구 중심, 매출액 미미
📗실용주의 로봇 생산
📗iRobot
- NASDAQ 코드 : IRBT
- 연매출 15억 달러 달성
- 마켓셰어 : 50~60% 수준 유지
📕아마존, 아이로봇 인수 추진
📗아마존, 로봇청소기 '룸바' 만드는 아이로봇 2조 원대에 인수
📗아마존이 아이로봇을 17억 달러에 인수
- 아이로봇 :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최고 75%
- 아마존 입장: 가정용 로봇 분야 강화
- 잠재적 위험 요인 : 반독점 금지법 위반 심사 필요
📕MIT 미디어 랩
📗MIT =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
📗MIT 내부 연구소 중의 하나
- 1985년 설립, 석사 및 석박사 통합 과정 운영
-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표현과 커뮤니케이션 중심
📗특징 : 다학제 간 연구 - 즉, 여러 분야의 융합 연구 중심
- Media Arts and Sciences 프로그램 운영
📗스폰서십 모델
- 연구소 후원금을 내면, 연구소 참관 / 연구소의 특허 사용 가능
- 매년 우수한 연구결과 및 우수 특허를 다량 출원
'학교 > it기술경영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기술경영개론]-기술 경영과 와해성 기술 (1) | 2022.10.13 |
---|---|
[it기술경영개론]-세계IT기술의발전11 (0) | 2022.10.13 |
[it기술경영개론] - 기술경영개요(2) (0) | 2022.10.13 |
[it기술경영개론]-기업가 정신 (1) | 2022.10.13 |
[it기술경영개론] - 과목 소개 (2)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