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8in1%2FbtsG36r1KQh%2FH2EZd6bVFHYWQ4kWC8JAb0%2Fimg.png)
프로젝트 관련 글[Android] 네이버 간편 로그인(Kotlin)[Android] 자동 로그인 with DataStore(Kotlin)[Android] 네이버 로그인 프로필 가져오기저번 PR에서 흥미로운 리뷰를 받았습니다. 사실 레포지토리 위에 하나의 계층을 두어 DataSource를 적용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상위 계층을 하나 두면 오히려 복잡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학습을 한 뒤 코드로 적용해 봤습니다. 사실 안드로이드에서 권장하는 DataLayer의 방식은 DataSource -> Respository의 흐름입니다.하지만 굳이? Data Sources까지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뭘까에 대해서 궁금했습니다. 사실 이는 제가 Repository 패턴에 대해서 잘못 해석을 하고 개발을 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