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IP주소 대신에 fixed length identifier label이라는 하나의 번호를 부여해서 그 번호면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하고,
매번 라우팅 알고리즘을 돌릴 게 아니라, 고정된 번호를 보고 forwarding해준다.
Virtual Circuit 접근법을 사용하는데, VC는 일종의 circuit switching이다.
하지만 여전히 IP 주소는 남아있다.
IP헤더 앞에, MPLS heade를 붙이고 d이 header는 label(20), Exp(3), S(1), TTL(5)로 구성되어 잇다.
IP header는 3 계층이고, MPLS header는 2 계층이다.
MPLS capable routers
MPLS를 동작시키는 라우터이고, label-switched router라고 부른다.
IP주소를 보지 않고 label 값을 보고 패킷을 포워딩한다.
따라서 IP 포워딩 테이블하고 MPLS 포워딩 테이블이 필요하다.
동일한 destination IP address여도 경로를 다르게 설정가능하다.(traffic engineering)
미리 계산된 백업 경로가 있기 때문에, 링크 장애 시 빠르게 흐름을 다시 지정할 수 있다.
MPLS vs IP Path

IP routing은 path가 des address만 보고 라우팅 한다.
R4나 R2는 어디서 왔든 동일한 경로로 목적지를 찾아간다.
MPLS routing은 R6에서 A로 가는 것과 R5에서 A로 가는 것이 다르다.
각각 src와 dec를 보기 때문에 다르게 경로를 할당할 수 있다.
-> traffic engineering이 가능하다
그리고 백업 루트를 계속 저장하기에, 빠르게 재경로 지정이 가능하다.
요약
- MPLS는 기존의 IP address만 보고 forwarding 하는 방식을 바꿔서
고정된 라벨을 부여해서, 그 라벨만 보고 forwarding 할 수 있다. - 동일한 destination IP address여도, 라우터와 다르게 다르게 경로가 설정 가능하다.
(traffic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망]- wifi,4G,5G,LTE (2) | 2023.06.15 |
---|---|
[컴퓨터망] Wireless network (0) | 2023.06.15 |
[컴퓨터망]-Ethernet (0) | 2023.06.15 |
[컴퓨터망] LANs - ARP (0) | 2023.06.14 |
[컴퓨터망]- Multiple Access Protocol (0) | 2023.06.14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IP주소 대신에 fixed length identifier label이라는 하나의 번호를 부여해서 그 번호면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하고,
매번 라우팅 알고리즘을 돌릴 게 아니라, 고정된 번호를 보고 forwarding해준다.
Virtual Circuit 접근법을 사용하는데, VC는 일종의 circuit switching이다.
하지만 여전히 IP 주소는 남아있다.
IP헤더 앞에, MPLS heade를 붙이고 d이 header는 label(20), Exp(3), S(1), TTL(5)로 구성되어 잇다.
IP header는 3 계층이고, MPLS header는 2 계층이다.
MPLS capable routers
MPLS를 동작시키는 라우터이고, label-switched router라고 부른다.
IP주소를 보지 않고 label 값을 보고 패킷을 포워딩한다.
따라서 IP 포워딩 테이블하고 MPLS 포워딩 테이블이 필요하다.
동일한 destination IP address여도 경로를 다르게 설정가능하다.(traffic engineering)
미리 계산된 백업 경로가 있기 때문에, 링크 장애 시 빠르게 흐름을 다시 지정할 수 있다.
MPLS vs IP Path

IP routing은 path가 des address만 보고 라우팅 한다.
R4나 R2는 어디서 왔든 동일한 경로로 목적지를 찾아간다.
MPLS routing은 R6에서 A로 가는 것과 R5에서 A로 가는 것이 다르다.
각각 src와 dec를 보기 때문에 다르게 경로를 할당할 수 있다.
-> traffic engineering이 가능하다
그리고 백업 루트를 계속 저장하기에, 빠르게 재경로 지정이 가능하다.
요약
- MPLS는 기존의 IP address만 보고 forwarding 하는 방식을 바꿔서
고정된 라벨을 부여해서, 그 라벨만 보고 forwarding 할 수 있다. - 동일한 destination IP address여도, 라우터와 다르게 다르게 경로가 설정 가능하다.
(traffic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망]- wifi,4G,5G,LTE (2) | 2023.06.15 |
---|---|
[컴퓨터망] Wireless network (0) | 2023.06.15 |
[컴퓨터망]-Ethernet (0) | 2023.06.15 |
[컴퓨터망] LANs - ARP (0) | 2023.06.14 |
[컴퓨터망]- Multiple Access Protocol (0)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