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재난방재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 대비해서 다음과 같은 일을 계획하고 있다. 먼저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를 파악한다. 그다음에 그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을 때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 최대로 몇 개가 만들어지는 지를 조사하려고 한다. 이때, 문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 일정한 높이 이하의 모든 지점은 물에 잠긴다고 가정한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는 행과 열의 크기가 각각 N인 2차원 배열 형태로 주어지며 배열의 각 원소는 해당 지점의 높이를 표시하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다음은 N=5인 지역의 높이 정보이다.
6 | 8 | 2 | 6 | 2 |
3 | 2 | 3 | 4 | 6 |
6 | 7 | 3 | 3 | 2 |
7 | 2 | 5 | 3 | 6 |
8 | 9 | 5 | 2 | 7 |
이제 위와 같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서 높이가 4 이하인 모든 지점이 물에 잠겼다고 하자. 이 경우에 물에 잠기는 지점을 회색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6 | 8 | 2 | 6 | 2 |
3 | 2 | 3 | 4 | 6 |
6 | 7 | 3 | 3 | 2 |
7 | 2 | 5 | 3 | 6 |
8 | 9 | 5 | 2 | 7 |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라 함은 물에 잠기지 않는 지점들이 위, 아래,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인접해 있으며 그 크기가 최대인 영역을 말한다. 위의 경우에서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5개가 된다(꼭짓점으로만 붙어 있는 두 지점은 인접하지 않는다고 취급한다).
또한 위와 같은 지역에서 높이가 6이하인 지점을 모두 잠기게 만드는 많은 비가 내리면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네 개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6 | 8 | 2 | 6 | 2 |
3 | 2 | 3 | 4 | 6 |
6 | 7 | 3 | 3 | 2 |
7 | 2 | 5 | 3 | 6 |
8 | 9 | 5 | 2 | 7 |
이와 같이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서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개수는 다르게 된다. 위의 예와 같은 지역에서 내리는 비의 양에 따른 모든 경우를 다 조사해 보면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개수 중에서 최대인 경우는 5 임을 알 수 있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가 주어졌을 때, 장마철에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최대 개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어떤 지역을 나타내는 2차원 배열의 행과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각 줄에는 2차원 배열의 첫 번째 행부터 N번째 행까지 순서대로 한 행씩 높이 정보가 입력된다. 각 줄에는 각 행의 첫 번째 열부터 N번째 열까지 N개의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자연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입력된다. 높이는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장마철에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문제해석
처음 문제를 읽어보고 이해하는데 조금 걸렸다. 그래서 높이 정보를 어디 주는 거지?라고 계속 보고 있었는데 모든 높이에 대해서 최댓값을 구하는 것이었다;;
자세한 문제 설명은 코드를 보면서 할 예정이다.
구현
⚡변수 선언
- n은 입력값, Big은 행렬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저장함. [나중에 while문 돌릴 때 끝나는 지점을 계산하기 위함], answer은 출력 값
- grpah는 입력 행렬이고 visit는 방문 배열이다.
- q는 row, col을 넣어줄 queue이고, x와 y는 각각 네 가지 방향을 뜻하는 배열이다.
⚡행렬 입력
- 행렬을 입력받고 값을 하나하나 비교해서 최고층의 높이를 계산함.
⚡해당 높이에서 영역의 개수를 계산하기.
- while문은 최고층의 높이까지 진행해준다. 그 이후로는 어차피 모든 영역이 잠기게 될 것이다.
- 행렬을 탐색하면서 해당 높이가 high보다 작거나 같다면 visit [i][j]를 0으로 초기화해줌. [잠겼다는 뜻], 높이가 high보다 크다면 큐에 푸시함.
- bfs() 함수 실행
- answer 중에서 최댓값을 block에 넣어줌.
- high를 한 칸 증가시키고 answer를 0으로 초기화한 후 visit배열을 다시 초기화함.
⚡BFS함수
- 큐가 빌 때까지 반복하는데 front에 있는 원소를 추출하고 만약 해당 row와 col을 이미 방문한 상태[즉 visit [Row][Col]이 1이면] 넘어가고, 방문한 상태가 아니라면 checkrain을 실행 후 영역의 개수를 하나 더해줌.
- checkrain은 내가 움직일 수 있는 좌표로 이동해주면서 가능한 영역을 탐색하는 함수이다.
- 적절한 영역인지 따지고, 방문할 수 있는 곳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그곳이 방문한 곳이라면 재귀를 탈출하고 다른 방향으로 탐색을 시작한다.
✔느낀 점
이 문제를 풀고 안 풀고는 중요하지가 않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푸는 것이 중요한데. 나는 그러지 못한 것 같다.
더 좋은 방법이 있었을 거 같은데,,, 조금 더 깔끔하게 짜고 싶다..!
[문제 자체는 쉬운 편이다.]
'CodingTest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404] 플루이드(C++) (0) | 2022.08.09 |
---|---|
[백준 2606] 바이러스(C++) (0) | 2022.08.06 |
[백준 1697] 숨바꼭질(C++) (0) | 2022.08.04 |
[백준 2573] 빙산(C++) (0) | 2022.08.03 |
[백준 7569] 토마토(C++) (0) | 2022.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