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sh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콘텐츠 파일을 서로 다른 rate의 덩어리로 만들어 제공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유튜브, 넷플릭스는 하나의 영상에 대해 다양한 해상도를 제공하며, 인터넷 상황, 데이터 상황을 체크해서 적절한 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해 주는데 이 기술이 바로 DASH이다. Server 비디오 파일을 여러개의 청크로 쪼갠다. 각 청크는 저장되고, 다른 rate로 encode 된다. manifest file은 청크에 대한 URL을 제공한다. 청크에는 고화질, 저화질의 정보가 있다. Client server-to-clinet 사이의 네트워크 상황을 측정한다. 측정한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품질의 청크를 선택하고, 청크를 조합하여 동영상을 재생함. 클..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콘텐츠 파일을 서로 다른 rate의 덩어리로 만들어 제공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유튜브, 넷플릭스는 하나의 영상에 대해 다양한 해상도를 제공하며, 인터넷 상황, 데이터 상황을 체크해서 적절한 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해 주는데 이 기술이 바로 DASH이다. Server 비디오 파일을 여러개의 청크로 쪼갠다. 각 청크는 저장되고, 다른 rate로 encode 된다. manifest file은 청크에 대한 URL을 제공한다. 청크에는 고화질, 저화질의 정보가 있다. Client server-to-clinet 사이의 네트워크 상황을 측정한다. 측정한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품질의 청크를 선택하고, 청크를 조합하여 동영상을 재생함. 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