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벡터 만들기 (통계에서 사용하는 자료형)
- 벡터의 숫자형
score=c(1,2,3,4,5,6,7,8,9); score
[1] 1 2 3 4 5 6 7 8 9
c(a,b,c,...) : 상수나 문자를 연결해줌.
score2 = c(11,12,13,14,15,16,17,18,19);score2
[1] 11 12 13 14 15 16 17 18 19
Score=c(score,score2);Score
를 실행하면 출력화면은 어떻게 나올까?
Score=c(scroe,score2);Score
[1] 1 2 3 4 5 6 7 8 9 11 12 13 14 15 16 17 18 19
두 벡터가 하나의 벡터로 연결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x=c(1,2,3,4,5)
x[0];x[1];x[3];x[4]
numeric(0)
[1] 1
[1] 3
[1] 4
R은 C,C++과 다르게 배열 첫번 째 원소가 0번지가 아닌 1번지 부터 시작한다.
2.벡터의 문자형
student=c("kim","lee","ann","mari")
names(student)=c("boy","boy","girl","girl")
student
boy boy girl girl
"kim" "lee" "ann" "mari"
2.벡터에서의 기초 통계량
x=c(1,2,3,4,5)
sum(x); ## x의 모든 원소의 합
mean(x); ## vector x의 평균
median(x); ## vector x의 중앙값
max(x); min(x); ## vector x의 최대값,최소값
var(x); sd(x); ## vector x의 분산,표준편차
length(x) ## vector x의 길이
3.벡터에서의 함수
- seq (오름차순 정렬)
seq(2,20,length=10) ## 2,20까지 같은 크기로 10개 쪼개서 출력
[1] 2 4 6 8 10 12 14 16 18 20
seq(1,10,by=2) ## 1부터 10까지 2만큼 증가해서 가기
[1] 1 3 5 7 9
- rev(내림차순 정렬)
rev(1:10) ## 1부터 10까지를 역순으로 출력한다.
[1] 10 9 8 7 6 5 4 3 2 1
- rep(반복)
rep(1:3,3) ## 1~3까지를 3번 반복시킨다.
rep(1,10) ##1을 10번 반복시킨다.
##vector도 적용 가능
rep(c(2,3,5),4) ##vector(2,3,5)를 4번 반복한다
[1] 1 2 3 1 2 3 1 2 3 ##rep(1:3,3)
[1] 1 1 1 1 1 1 1 1 1 1 ## rep(1,10)
[1] 2 3 5 2 3 5 2 3 5 2 3 5 ##rep(c(2,3,5),3)
출처: 대학교 강의자료
'학교 > R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R프로그래밍 중간고사 정리-6 (data() 활용하기) (0) | 2022.04.17 |
---|---|
R프로그래밍 중간고사 정리 -5 ( 여러 개의 그래프 그리기) (0) | 2022.04.17 |
R프로그래밍 중간고사 정리-4 (plot() 사용하여 그래프 그리기) (0) | 2022.04.17 |
R프로그래밍 중간고사 정리 -3 반복문(while(), repeat(),break) (0) | 2022.04.17 |
R프로그래밍 중간고사 정리-2 (반복문-for())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