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알고스 팟 운영진이 모두 미로에 갇혔다. 미로는 N*M 크기이며, 총 1*1 크기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로는 빈 방 또는 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빈 방은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만, 벽은 부수지 않으면 이동할 수 없다.
알고스 팟 운영진은 여러 명이지만, 항상 모두 같은 방에 있어야 한다. 즉, 여러 명이 다른 방에 있을 수는 없다. 어떤 방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방이다. 즉, 현재 운영진이 (x, y)에 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방은 (x+1, y), (x, y+1), (x-1, y), (x, y-1)이다. 단, 미로의 밖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벽은 평소에는 이동할 수 없지만, 알고스팟의 무기 AOJ를 이용해 벽을 부수어 버릴 수 있다. 벽을 부수면, 빈 방과 동일한 방으로 변한다.
만약 이 문제가 알고스팟에 있다면, 운영진들은 궁극의 무기 sudo를 이용해 벽을 한 번에 다 없애버릴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이 문제는 Baekjoon Online Judge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sudo를 사용할 수 없다.
현재 (1, 1)에 있는 알고스 팟 운영진이 (N, M)으로 이동하려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 세로 크기 N (1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 0은 빈 방을 의미하고, 1은 벽을 의미한다.
(1, 1)과 (N, M)은 항상 뚫려있다.
📕출력
첫째 줄에 알고스팟 운영진이 (N, M)으로 이동하기 위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출력한다.
🔎문제 해석
기본적으로 문제는 BFS를 사용해서 풀었다. 하지만 이동하는 기준은 이제 최소한의 벽을 부수는 이동을 기준 잡고 이동했다.
- 변수 선언
- graph : 입력받는 행렬 저장
- visit : 해당 좌표로 이동하는데 부수는 벽의 개수 (초기화는 INT_MAX)
- 왜냐하면 최소의 벽 개수를 계속 업데이트 해야하기에 가장 큰 값을 넣어줬다.
- x,y : 이동하는 방향을 저장.
- queue : 좌표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
- 1,1에서 출발하고 1,1은 벽이 없기에 visit[1][1]=0으로 초기화했다.
- BFS실행
- queue에 있는 좌표를 추출하고 그 좌표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이동했다.
- 적절하지 않는 이동이면 continue해줌.
- 만약 이동한 좌표에 벽이 있을때
-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를 비교해야함.
- 벽이 있기에 기준 좌표 + 1, 즉 벽의 개수를 더해줘야함.
-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 VS 기준 좌표 + 1
- 이동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가 더 크다면 기준 좌표 +1 로 초기화해주고 queue에 넣어줌.
- 이동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가 더 작다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음.
- 최소 경로가 아니기에 무시해주면 됨.
-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를 비교해야함.
- 만약 이동한 좌표에 벽이 없다면
-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를 비교해야함.
- 벽이 없기에 기준좌표와 저장된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를 비교해야함.
-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 vs 기준좌표
- 이동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가 더 크다면 기준좌표 값으로 업데이트해주고, queue에 넣어줌.
- 이동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가 더 작다면 아무일도 일어나지않음.
- 최소 경로가 아니라는 뜻임.
- 이동한 좌표로 가는 벽의 개수를 비교해야함.
- queue에 있는 좌표를 추출하고 그 좌표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이동했다.
- BFS를 탈출하면 도착지까지의 최소 벽의 개수가 visit[m][n]에 저장됨.
코드
/*
백준 골드4 1261 알고스팟
*/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stack>
#include <queue>
#include <climits>
using namespace std;
int n, m, c = 0;
vector<vector<int>> graph;
vector<vector<int>> visit;
vector<int> x = {1, -1, 0, 0};
vector<int> y = {0, 0, 1, -1};
queue<pair<int, int>> q;
int result = INT_MAX;
void bfs();
int main()
{
cin >> n >> m;
graph.resize(m + 1, vector<int>(n + 1, 0));
visit.resize(m + 1, vector<int>(n + 1, result));
for (int i = 1; i <= m; i++)
{
for (int j = 1; j <= n; j++)
{
scanf("%1d", &graph[i][j]);
}
}
q.push(make_pair(1, 1));
visit[1][1] = 0;
bfs();
cout << visit[m][n];
}
void bfs()
{
while (!q.empty())
{
int fx = q.front().first;
int fy = q.front().second;
q.pop();
for (int i = 0; i < 4; i++)
{
int tempx = fx + x[i];
int tempy = fy + y[i];
if (tempx <= 0 || tempx > m || tempy <= 0 || tempy > n)
{
continue;
}
if (graph[tempx][tempy] == 1)
{ //이동할려는 좌표가 벽이다.
if (visit[tempx][tempy] > visit[fx][fy] + 1)
{ //이미 저장된 벽의 개수보다 더 작다면 벽의 개수를 업데이트하고, queue에 넣어줌.
visit[tempx][tempy] = visit[fx][fy] + 1;
q.push(make_pair(tempx, tempy));
}
}
else
{
if (visit[tempx][tempy] > visit[fx][fy])
{//이미 저장된 벽의 개수보다 더 작다면 벽의 개수를 업데이트하고,queue에 넣어줌.
visit[tempx][tempy] = visit[fx][fy];
q.push(make_pair(tempx, tempy));
}
}
}
}
}
✔느낀점
- 입력하는 과정에서 입력 예제가 m,n이 바껴있어서 ㅈㄴ짜증났다.
- 원래는 우선순위 큐를 사용했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없었던것 같다.
- 좌표를 뽑는 과정에서 내가 그전에 걸러주면 상관 없었으니 우선순위 큐 사용은 필수는 아닌듯?
'CodingTest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4485] - 녹색 옷 입은 애가 젤다지?(C++) (2) | 2022.11.24 |
---|---|
[백준 13549] - 숨박꼭질3(C++) (1) | 2022.11.24 |
[백준 18352] -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C++) (1) | 2022.11.19 |
[백준 2668] - 숫자 고르기(C++) (0) | 2022.11.17 |
[백준 1987] - 알파벳(C++)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