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IT기술경영개론]- mac-gui-pixar
재한
2022. 12. 13. 01:55
Macintosh(매킨토시)
- 이름의 유래 : 사과 품종
- 1984년 tv 광고
- 맥킨토시 최초 출시 1984년
- 세계 50대 광고로 선정
- 매킨토시 비전 : 보통 사람도 쉽게 쓸 수 있는 컴퓨터
- 1979년 애플 사내 프로젝트로 제프 래스킨이 시작
- 1981년, 스티브 잡스가 팀 인수, 제프 래스킨 퇴사
- 매킨토시 개발 목표는 그대로 유지
- 매킨토시 팀 운영
- 1주일에 90시간을 일하자 . 즐기면서 일하자
- 팀원들은 몰입의 경지 : 우리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 일한다
- 결과 : 개발기간을 3년을 1년6개월로 단축
디테일의 아름다움에 대한 집착
- 매킨토시 메인보드 디자인
- 잡스 : 메모리 칩의 배선이 너무 붙어있다.
- 개발자 : 돌아가는데 지장 없다.
- 잡스는 아름다움에 신경을 많이 썼음
스티브 잡스의 마인드
- 최고가 아닌 것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 (기술적인면) 자비도, 타협도 없다.
- 개개인의 역량 이상의 일을 요구 -> "할 수 있다"라고 매일 이야기
- 사용자 측면에서 접근
- 기술자들의 온갖 엔지니어링 시도
- 잡스의 고집 : 사용자에게 편해야 함.
제록스 파크
- 미국의 복사기, 프린터, 인쇄기 제조 기업
- NYSE 코드 : XRX
- 건식 복사기 시장을 개척
- 외부 사건- 1938년, Chester Calrson, 건식 복사기의 원리 발명
- 1959년 Xerox 914 출시 - 최초의 일반 종이 복사기 상품화 성공
- 스위치를 누르면, 일반 종이에 복사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혁신
- 1963년, Xerox 813 출시 - desktop 사이즈 일반 종이 복사기
- 복사기 시장을 독점, 엄청난 수익을 거둠
- 1970년, Xerox PARC 연구소 설립 -> 2002년, PARC 별도 법인으로 독립
- 1977년 레이저 프린터 출시
- PARC = Palo Alto Research Center 팔로 알토 리서치 센터
- palo Alto = 캘리포니아, 실리콘 밸리 북부 도시
- 엄청난 연구 결과를 배출
- 마우스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 WIMP = window, icon, menu, pointer 개념
- WYSIWYG 방식 문서 편집기
- personal computing 개념
- 이더넷- 제록스 자체 사용 네트워크 망
- 제록스 앨토 - PC/워크스테이션의 원형
Xerox의 실패 원인
- Xerox의 사업다각화 시도
- 초기 복사기 시장 점유율 95% 이상 -> 1982년 13%로 급감
- 반독점 규제 -> 복사기 특허의 해제 -> 일본 복사기 회사의 약진
- 당시 CEO가 보험, 금융 분야에 투자 -> 실패로 대규모 부채 발생
- Xerox의 조직 문화
- 외부 CEO가 혁신을 시도 -> 내부 세력의 엄청난 저항
- 20년 이상 다양한 혁신 시도 -> 실제로 바뀐 것은 전혀 없었다.
- 스티브 잡스의 증언
- 3가지 기술
- obejct-oriented programming, networked computers, GUI
- 기술적 우위 기업이 왜 망하는 가
- 테크 기업이 기술적 우위로 독점적 지위를 획득할 경우
- 독점 사업이니, 어차피 뭘 만들어도 팔린다 -> 기술 개발을 등한시
- 기술보다는 영업/마케팅을 중시하게 된다.
- 영업/마케팅 인력의 중시 -> 운영진을 영업/마케팅 출신으로 교체
- 이제 운영진은 좋은 제품/나쁜 제품 구별을 못함
- 개발 팀의 의견 무시 -> 제품 감수성을 잊어버림 -> 시장 도태
- product sensibility(제품 감수성)을 이해하는 개발팀 인재들이 회사를 떠남
- 테크 기업이 기술적 우위로 독점적 지위를 획득할 경우
- 3가지 기술
존 스컬리 애플 영입
- 존 스컬리
- 미국의 전문 경영인
- 브라운 대학교 건출 설계 학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MBA
- 펩시콜라 CEO : 블라인드 테스트
- 1983년 Apple ceo 취임
- 애플의 사정 : 마케팅이 약하다 -> 외부 영입 추진 -> 존 스컬리 거부
- 스티브 잡스의 직설적 설득
존 스컬리 애플 장악
- 스티브 잡스의 경영상 실책
- 리사 프로젝트 실패
- 매킨토시 판매 부진 -> 재고 과다 -> 재정 악화
- 성격장애 문제가 커짐 -> 존 스컬리 CEO를 강제 퇴진시키려 시도
- 존 스컬리의 역습
- 이사회 소집 -> 마이크 마쿨라 등, 이사진, 존 스컬리 지지
- 스티브 잡스, 애플 퇴사
- 존 스컬리의 애플 장악
- 회사 조직 정비 -> 부서 통폐합, 인사 정리 -> 사내 문화 변화 성공
- 추가 개발 실패, 고가 정책 고수 -> 경영 악화 -> 1993년 이사회에서 퇴진
애플 리사
- 1983년, 애플리 출시한 세계 최초의 GUI 기반 PC
- LISA = Local Integrated SoftWare Architecture
- 스티브 잡스가 개념 설계 -> 1982년 팀에서 방출 -> 매킨토시 팀으로 이동
- 상업적 실패작
- 기술적으로는 GUI 등, 매우 우수한 개념 설계
- MC 68000 5 GHz CPU에서 감당할 수 없는 연산을 요구
- 워드프로세서 LisaWrite를 띄우는데, 최소 30초 소요
- 고가 정책: 초기 발매가 9995달러
- 1984년 매킨토시 발매로 완전히 사장됨
매킨토시 출시
- 1984년, 애플이 출시한 GUI가 상업적으로 성공한 첫 번째 pc
- 개발은 스티브 잡스가 주도
- 1985년 잡스 퇴사
- 존 스컬리가 마케팅
- 고가 정책 : 발매가 1955달러 -> 2495달러로 높임
- 개발은 스티브 잡스가 주도
- 현재는 매킨토시 클래식이라고 불림
매킨 토시 특징
- 제록스 PARC의 GUI 기술 라이선스 받음
- 당시 100만 달러의 애플 주식을 양도하고, 라이선스를 받음
- 나중에 제록스가 계약 위반으로 소송 -> 합의로 해결
- 스노 화이트 디자인 랭귀지 적용
- 산업 디자이나 하르트무트 에슬링거가 개발
- 많은 매킨토시 디자인에 적용
매킨토시 출시 이후
- 매킨토시, 절반의 성공
- 고가 정책 -> 폭발적 성장은 실패
- 다양한 고급 기능 -> 전자 출판 등에서 부분적 성공
- 1984년~1985년 경, 매킨토시 GUI, 마이크로소프트와 라이선스 계약
- 1985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1.0 출시 -> 애플은 여기서 계약 만료 주장
- 쟁점 : 계약 기간을 명시하지 않았음 -> 마이크로소프트는 무제한 계약 주장
- 1988년, 애플 GUI 무단 사용으로 마이크로 소프트와 라이선스 계약
- 1992년 애플 패소, 재항소 -> 제록스가 애플 고소 -> 모두의 합의로 타결
- 1990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3.0 출시
- 매킨토시 os에 버금가면서 , 더 싼 가격 ->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
계약서의 중요성
- 계약 기간의 명시 필요
- 모든 상황을 가정해서 계약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음
- 우호적인 관계에서는 쉽게 합의할 내용이더라도, 나중에는 쟁점이 될 수 있음.
전자 출판 : Desktop Publishing
- 전통적인 활자 인쇄 typesetting
- 수작업
- 고정되면 수정하기 매우 힘듦
- 컴퓨터 프린터는 타자기 방식
- 글자 폭이 동일하게 나옴
- Xerox 복사기 -> 레이저 프린터
- Desktop typesetting
- 마크업 랭귀지로 식자
- 1978년, Tex
- 1984년, Latex
- markup language 방식으로 문서 조판
- Mac의 성공 요인
- 리드 대학의 서체 강의
- 리드대학 = 미국 오리건 주의 학부 중심 대학
- 스티브 잡스가 입학했던 대학
- 서체, 캘리그래피
- 동양권의 서예/붓글씨 포함, 손으로 쓰는 모든 글씨를 의미
- 매킨토시 : 컴퓨터 글꼴로 발전
- 프린터 용은 PostScript로 발전
- WYSIWYG 방식의 확립
- 화면에 포맷한 대로 프린터로 출력
- 리드 대학의 서체 강의
Apple LaserWriter
- 1985년 Apple이 출시한 레이저 프린터
- 상업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레이저 프린터
- PostScript 언어 내장
- 네트워크 카드도 내장
- 일종의 독립된 pc와 비슷하게 작동
- 네트워크로 PostSricpt 프로그램 전송 -> 실행 -> 결과 출력
- PostScript의 성공 -> Adobe Inc. 의 성공
- 현재의 PDF로 발전
워크스테이션
미니 컴퓨터와 PC 사이의 틈새시장
- 미니 컴퓨터
- Unix 계열의 안정적인 OS + 높은 계산 성능
- 그러나 많은 사람이 공동사용
- Pc 개인용 컴퓨터
- 낮은 성능, 부실한 OS
- 양쪽의 장점만 딴 새로운 컴퓨터 -> 워크 스테이션
- 개인용 + 고성능 CPu, 고성능/안정적 OS -> 매우 안정적인 서버로 사용
- 네트워크 연결 -> 인터넷 연결 필수
- 높은 해상도의 모니터 + 높은 그래픽스 성능 -> 그래픽스 워크스테이션
심벌 릭스
- 미국의 사라진 컴퓨터 제조 업체
- 1985년 세계 최초의. com 도메인 등록
- 1980년 MIT AI LAB 연구진 + 해커들이 설립
- LISP언어 기반의 AI 연구 컴퓨터 제조 및 판매 목적
- 해커 집단에서 시작 -> 서서히 상업적 저작권을 주장
- 1981년, 심벌 릭스 LM-2 출시 -> 최초의 워크스테이션
- 1980년대 AI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최고의 플랫폼
- 단점 : 모든 개발환경이 LISP
- 1980년대 후반 , 냉전 종식 + AI 연구 축소 -> 재정 악화
- 1996년 파산
마지막 해커 정신, 리처드 스톨만
- 리차드 스톨만 1953~
- 하버드 물리학과 학사, MIT 물리학과 박사 졸업
- 1980년대, MIT AI LAB 시스템 관리자 + 해커
- MIT 해커들의 심벌 릭스 설립 -> 리차드 스톨만의 강력한 반대
- 심볼릭스 : 새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비공개 전환, 유료 판매
- 리처드 스톨만 :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배포 주장
- 심벌 릭스와 동등한 기능을 독자 개발, 완전 공개
- 대립구도
- Free SoftWare 운동의 시작 -> 소프트웨어 독점에 반대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
- 미국의 사라진 컴퓨터 제조 업체
- 1982년, 스탠퍼드 대학 출신 4명이 설립
- 하드웨어 : 미니컴퓨터와 MS Windows 서버 급의 정확히 중간 위치
- 1982년 ~ 1985년, Sun1,2,3 출시
- 1987년 이후 SPARC station 시리즈 출시
- 1990년대에는 PC 기반 서버에 시장 잠식
- SunOs -> Solaris로 이어지는 Unix 기반 Os
- 워크스테이션의 안정성에 지대한 공헌
- 2010년, Oracle에서 인수하는 이유
- Java : 새로운 돌파구로 시도
실리콘 그래픽스
- 1981년 설립 -> 2009년 파산
- 3D 그래픽스 VLSI 칩 설계 -> 고급 워크 스테이션 시장 석권
- 1995년~2002년 아카데미 특수효과상 석권
Next , Inc. 넥스트(컴퓨터)
- 1985년 스티브 잡스가 창립
- 1988년, 넥스트 컴퓨터 출시
- MC 68030 CPU + 8MB RAM + Mach Os 사용, 6500달러 고 가격 -> 실패
- 1990년 넥스트 큐브 출시
- MC 68040 CPU , 1.4GB 하드디스크 추가, NeXTSTEP Os 사용
- 팀 버너스 리가 최초의 부라우저/웹 서버 제작에 사용
- 존 카멕이 울펜슈타인 3D, 둠 제작에 사용
- 1990년 넥스트스테이션 출시
- 넥스트 큐브의 저가형 트림, NeXtSTEP OS 사용
- 1997년 애플에 합병 -> NeXTSTEP이 OS X 개발에 그대로 사용됨.
3M : 당시의 고성능 워크스테이션 기준
- 1 MHz CPU
- 1MB 메모리
- 1M pixels = 1,000 * 1,000 해상도 모니터
고가격 워크스테이션 시장의 몰락
- PC, CPU 메모리의 발전
- PC 그래픽 카드의 발전
ATI
- 1985년 설립
- 2006년 AMD에 합병
- 팹리스 Semicconductor Company
- EGA wonder, VGA Wonder
- Mach Series, Rage series
- Radeon series
- FireGL series
NVIDIA
- 1993년 설립
- geForce Series
픽사
배경 설명
- Star Wars
- 1977년 미국 영화로 시작
- 제작사 루카스 필름
- 영화감독 조지 루카스가 설립
- 1979년 루카스 필름 컴퓨터 사업부, 그래픽 분야 출범
- 이후 에드 캣멀이 CEO로 운영
- 1986년 스티브 잡스가 인수
- 회사 이름을 픽사로 바꿈
- 조지 루카스 : 이혼 소송 -> 급하게 현금이 필요
- 스티브 잡스 : 이미지 처리 하드웨어가 탐났음
주력 상품의 전환
- 1986년 당시 주력 상품 = 픽사 이미지 컴퓨터
- 고성능 그래픽 디자인용 컴퓨터
- 고객 : 디즈니 스튜디오 , 정부 기관
- 판매 부진 -> 픽사의 재정 위기
- 애니메이션 부서의 활약
- 재정위기 -> 애니메이션 광고 제작 수주 시작
- 이후, 컴퓨터 부서 대부분을 정리 -> 애니메이션 회사로 변신
- 1991년, 디즈니와 토이스토리 제작 계약
- 불리한 계약 :디즈니가 판권 독점
디즈니의 픽사 인수
- 1995년 기업 공개 IPO
- 2006년, 디즈니 픽사 인수
- 당시 디즈니는 극심한 침체기 -> 픽사 애니메이션 도입으로 재도약
- 스티브잡스 : 픽사 지분 -> 디즈니 주식 7%로 변경
- 디즈니의 최대 주주
- CEO 에드 캣멀 ->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사장
스티브 잡스의 역할
- 1986년 인수 초기 : 픽사 이미지 컴퓨터에 집중
- 픽사 이미지가 컴퓨터 데모용 애니메이션 -> 아카데미 상 후보
- 1988년 자체 애니메이션 틴 토이 제작 지원
- 아카데미 단편 영화상 수상(컴퓨터 최초)
- 1995년 토이스토리 대성공
에드 캣멀
- 컴퓨터 학자로 성장
- 디즈니 클래식 애니메이션에 감명
- 유타 대학 진학- >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 전공 -> 박사학위
- 3D 그래픽스 분야에 위대한 업적
- 텍스처 매핑, 곡선/곡면 모델링 분야 개척
- 2019년 ACM 튜링 어워드 수상
- 루카스필름, 픽사에서 CEO, 디즈니 애니메이션 CEO
Pixar's RenderMan 소프트웨어
- 픽사에서 제작한 3D 랜더링 소프트웨어
- 3D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의 표준 소프트웨어로 사용
- 파일 포맷으로도 사용
- 2015년 무료 제공 시작
- Blue Moon Rendering Tools =BMRT
- 개발자 : Larry Gritz
- 개념 : 랜더맨과 동일 인터페이스 + 고급 기능 추가 -> 몇 년 간 1명이 단독 개발
- 1994년, 연구 논문으로 발표 -> 픽사에서 합병
- 2000년, 픽사 퇴직 -> 새로운 버전 개발 -> NVIDIA에서 합병 -> 소송 및 합의